김진관 에이치쓰리코리아 대표(사진)는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를 겪고 있는 세계는 더 이상 화석연료 사용을 용납하지 않는다”며 “우리나라가 수소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새로운 에너지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1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세계는 이미 수소를 미래 에너지로 선택했다”며 “풍력·태양광과 달리 이동·보관이 가능한 청정에너지는 수소가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석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의 95%를 수입에 의존한다. 풍력·태양광·원자력 등으로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잉여 전력으로 수소를 생산·저장하는 기술력을 높이지 않는 이상 우리나라 미래는 어둡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화석연료에서 나온 부생수소와 개질수소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청정에너지로 볼 수 없다. 그가 수전해를 통한 그린수소에 몰입하는 이유다. 김 대표는 ‘수소에너지’라는 단어가 생소한 2011년부터 수전해 연구를 시작해 10년 만에 국내 최초로 무촉매 그린수소 생산 기술을 확보했다. 국내외 대기업·대학·연구기관 등이 촉매 연구에 매달려 있을 때 한발 앞서 촉매 없는 수소발생 시스템을 만들었다.
▷촉매·분리막 없이 수전해가 가능한가요.
“물에 전기를 흘려보낸다고 수소와 산소가 나오지 않습니다. 전기 반응 속도를 빠르게 만드는 촉매가 있어야 합니다. 촉매는 전자를 활성화하도록 돕는 매개체입니다. 주로 백금 계열의 촉매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소단가가 높습니다. 에이치쓰리코리아가 개발한 신소재는 그 자체로 촉매와 분리막 기능을 대체합니다. 수명도 반영구적이어서 수소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풍력·태양광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풍력과 태양광은 신재생에너지입니다. 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저장·운송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석탄·석유처럼 수출입이 가능한 유일한 친환경 에너지는 수소밖에 없습니다. 수소를 얼마나 싼 가격에 공급하느냐가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가 될 것입니다.”
▷수소에너지는 모두 청정에너지인가요.
“수소는 부생수소, 개질수소(추출수소), 그린수소로 나뉩니다. 부생수소는 석유화학 공정의 나프타 분해나 제철소 철강 코크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입니다. 개질수소는 액화천연가스 성분의 메탄을 높은 온도와 압력을 이용해 수증기와 반응시켜 나옵니다. 두 가지 모두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그레이수소’로도 불립니다. 반면 그린수소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깨끗한 에너지입니다. 하지만 생산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소사업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은 경제성이 좋은 그레이수소 생산에 집중돼 있습니다.”
▷수소경제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수소만 유일하게 에너지원으로 저장·이송할 수 있어 국가 간 이동이 가능합니다. 미래는 기술이 에너지인 시대입니다. 국내에서 생산하는 수소가격이 높으면 다른 나라에서 수소에너지를 수입해야 합니다. 화석연료와 같이 에너지 수입국이 되는 겁니다. 2050년 세계 수소시장은 사용량 420조원 규모(7억t)로 예상됩니다. 우리나라가 수소가격을 2000원대로 낮추면 세계 수소시장의 30%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그린수소를 수소경제의 핵심으로 삼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차세대 수전해 개발 계획이 궁금합니다.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의 수전해 기술로 그린수소 시장을 선도해야 합니다. 2세대를 넘어 3세대 수전해 기술을 연구 중입니다. 에이치쓰리코리아는 풍력·태양광뿐만 아니라 친환경 자가발전을 사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현재 수전해 설비에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에어모터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신재생에너지 50%, 자가발전 50%를 적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정부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나요.
“수전해 기술을 연구하는 중소기업들은 연구환경이 열악합니다. 매출이 적거나 사업실적이 거의 없어 정부나 금융권의 자금 지원도 받기 어렵습니다. 정부가 수소 분야에 관심을 갖고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합니다. 기업이 주도적으로 수전해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