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5tg
device:MOBILE
close_button



코스피

2,465.42

  • 21.28
  • 0.86%
코스닥

687.39

  • 3.90
  • 0.57%
1/3

현대차, 美 31조 투자…트럼프 "위대한 기업"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현대차, 美 31조 투자…트럼프 "위대한 기업"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현대차  31조 투자트럼프 위대한 기업

    24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루스벨트룸. 시계가 오후 2시15분을 가리키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문을 열고 들어왔다. 기다리고 있던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손을 맞잡은 그는 “오늘 우리는 아름다운 발표를 할 겁니다”라고 말한 뒤 마이크를 정 회장에게 건넸다. 한국 기업인이 세계 정치·경제의 심장부인 백악관에서 현직 미국 대통령과 나란히 선 첫 장면은 이렇게 연출됐다. 정 회장은 “향후 4년간 미국에 210억달러(약 31조원)를 투자하겠다”며 선물 보따리를 풀었다.

    현대차그룹이 루이지애나에 미국 내 1호 ‘전기로 일관제철소’를 건립하는 등 4년간 210억달러에 이르는 대규모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다음달 2일로 예고된 미국의 관세 부과를 앞두고 현대차그룹이 ‘정면 돌파’를 선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분야별로 자동차 생산 86억달러, 미래 산업 및 에너지 63억달러, 부품·물류·철강 61억달러 등이다. 이번 투자액은 현대차그룹이 1986년 미국에 진출한 이후 40년 동안 투자한 금액(205억달러)을 넘어서는 규모다. 미국을 한국에 이은 ‘제2의 생산기지’로 삼은 것이다.

    정 회장이 이날 “현대차그룹이 미국 산업의 미래에 강력한 파트너가 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진정 위대한 기업인 현대와 함께하게 돼 큰 영광”이라고 화답했다.


    핵심은 현대차그룹이 미국에서 ‘쇳물부터 자동차까지’ 수직 계열화를 통해 일관 생산시스템을 갖춘다는 데 있다. 현대제철의 해외 첫 생산 거점인 루이지애나 제철소에서 생산한 연 270만t 규모의 철강 제품을 활용해 앨라배마(현대차·생산능력 연 36만 대), 조지아(기아·34만 대),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30만 대)에서 자동차를 연 100만 대 생산하기로 했다. 현대모비스, 현대트랜시스 등의 핵심 부품도 현지 공장에서 조달한다. 현대차그룹은 26일 준공식을 여는 HMGMA의 생산능력을 향후 연 50만 대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번 투자로 현대차그룹이 트럼프 정부의 ‘관세 폭탄’에서 한발짝 비켜날 여지가 생겼다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는 미국에서 철강과 자동차를 생산하는 만큼 관세를 낼 필요가 없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투자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대상에 자동차 또는 한국이 제외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도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상호관세 부과 계획과 관련해 “많은 국가에 면제를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신정은/양길성 기자/워싱턴=이상은 특파원 newyearis@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