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기고] 인구절벽보다 가파른 식품소비절벽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이계임 < 농촌경제연구원 농림산업정책연구본부장 >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다. 지난 3월 말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특별추계(2017~2067년)에 따르면 한국인의 자연 감소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이상 빨라진 올해부터 시작된다. 생산연령인구도 2017년에는 전체 인구의 73.2%였으나 2067년에는 45.4%로 줄어드는 반면, 고령인구는 같은 기간 13.8%에서 46.5%로 세 배 가까이 비중이 늘어난다.

이 같은 ‘인구절벽’으로 국내 식품시장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첫째는 식품 내수시장 위축이다. 한국에서 필요한 식품 총량은 인구의 성별 및 연령 구성을 감안한 칼로리를 기준으로 총인구보다 빠르게 감소세로 전환될 것이다. 총인구가 2028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데 비해 총 칼로리 필요량을 기준으로 식품 총량을 전망하면 이보다 7년 빠른 2021년부터 감소 추세로 바뀐다는 분석이다. 이른바 ‘식품(소비)절벽’이 인구절벽보다 빠르게 시작된다는 얘기다.

둘째, 인구 구성 변화로 이전까지 식품 소비에 주목할 만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소비층의 비중이 확대될 것이다. 고령화와 1인 가구의 급속한 증가는 국내 식품 소비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셋째, 생산연령인구 감소가 식품업계의 노동력 부족을 불러올 수 있다.

2021년 본격 시작될 이 같은 식품절벽에 업계와 정책당국의 대응이 시급하다. 예를 들어 3~4인 가구를 타깃으로 하는 식품 형태에서 고령층도 주요 대상으로 포함하는 전략으로 바뀌어야 한다. 건강기능식품이나 고령친화식품 개발을 활성화하는 기반도 마련해야 한다. 업계는 고소득 노인층, 저소득 홀몸노인, 1인 청장년가구 등으로 세분해 제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식품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시스템도 손봐야 한다. 즉 생산성 향상과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식품 제조공정에 기계와 기술 도입이 더 많이 고려돼야 한다.

인구절벽에 따른 식품소비절벽은 식품시장의 위축, 생산 감소, 산업 위축으로 이어지고 다시 수요 부진을 통해 경제 전반을 위축시킬지 모른다. 그런데도 과거 식품 부족 시대의 생산·판매방식을 고수하면 한국 식품산업이 위기를 맞을 수 있다. 이런 위기상황을 역으로 이용해 산업경쟁력 제고와 세계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