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신년기획 - 인구절벽·고령화 쇼크
<1부> 본격화하는 베이비부머 은퇴
시간제일자리서도 父·子 갈등
최저임금 급격한 상승이 불질러
10~20년간 청년실업자 증가 우려
[ 심은지 기자 ] 은퇴 연령대에 도달한 장년층이 대거 임시, 일용직 일자리를 찾아 뛰어들면서 세대 간 일자리 갈등이 본격화하고 있다. 정규직 일자리에서 은퇴한 60~70대 장년층이 ‘편의점 아르바이트(알바)’ 자리를 놓고 10~20대와 경쟁을 벌이는 식이다. 정부가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마련한 공공 일자리도 청년층과 고령자들이 다투는 구도다. 은퇴 연령대 인구가 급증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60대 이상 취업자 수는 2007년 256만 명에서 작년 409만 명으로, 10년 새 60% 증가했다. 반면 20대(20~29세) 취업자 수는 같은 기간 406만 명에서 366만 명으로 줄었다. 2015년 60대 취업자(362만 명)가 20대 취업자(361만 명)를 넘어선 이후 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20대의 일자리를 60대 이상이 잠식하는 모양새다. 은퇴한 장년층이 생계유지 등을 위해 다시 현장을 찾아 임시, 일용직을 중심으로 구직에 나서면서다. 올해는 특히 최저임금 16.4% 인상 파장으로 시간제 일자리가 대폭 줄면서 ‘청년 알바’ 대 ‘장년 알바’의 싸움이 본격화했다는 분석이다.
통상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청년실업은 심해진다. 한국은행은 이달 초 ‘한국과 일본의 청년실업 비교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고령화가 진전되면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확대되고 청년실업률이 상승한다고 분석했다.
한국도 일본처럼 고령화가 본격화하면서 내수시장이 위축되고 고령자와의 경쟁이 치열해져 청년들의 입지가 줄어든다는 얘기다. 고령화와 청년실업이 동시에 불거지자 정부는 내년 3조8000억원을 들여 노인, 청년을 대상으로 단기 공공근로 일자리 96만 개를 마련하기로 하는 등 관련 예산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점점 팽배해지는 세대 간 일자리 갈등을 풀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에는 장년층의 일자리 잠식 현상이 단기 알바를 넘어 30, 40대 중심의 임시, 일용직까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50대, 60대 취업자는 각각 643만 명, 460만 명으로 통계가 시작된 뒤 최대 규모를 나타냈다. 11월까지 전체 취업자가 전년 동기 대비 0.6% 늘어나는 동안 60대 취업자는 10배 많은 6%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30대와 40대는 각각 1.7%, 1.8% 감소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