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65년 만에 만난 자매… "어렸을 때 앳된 모습 어디갔니"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2년10개월 만의 상봉 행사

北측 두 여동생 만난 91살 언니
서로 알아보자마자 오열
北 가족 생사 확인한 남동생은
"완전히 로또 맞은 기분"

1차 南 197명·北 185명 참석
고령화로 부모·자식 상봉 7건뿐



[ 김채연 기자 ]
“어머니!” “딸아.”

남측의 한신자 씨(99)는 1953년 전쟁 통에 헤어진 북측의 두 딸 김경실(72), 경영(71) 씨를 보자마자 부둥켜안고 60년 넘게 쌓인 그리움을 눈물로 쏟아냈다. 세 사람은 한참 동안 아무말도 하지 못한 채 눈물만 흘렸다. 한씨는 1·4 후퇴 때 두 딸을 친척 집에 맡겨두고 셋째 딸만 데리고 남쪽으로 내려왔다. 그게 마지막이었다. 한씨는 당시 상황을 떠올린 듯 “내가 피란 갔을 때…”라며 또다시 울먹였다. 한씨는 행사 내내 두 딸의 손을 꼭 잡고 북측 가족의 안부를 물었다.

◆65년 만에 상봉 ‘눈물바다’

20일 금강산호텔 2층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장은 눈물바다였다. 이날 상봉장에서는 남측 이산가족 89명 등 동반가족 197명과 북측 가족 185명이 만났다. 이번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2015년 10월 이후 2년10개월 만에 열렸다.

상봉장에는 행사 전부터 ‘반갑습니다’란 노래가 울려 퍼졌다. 오후 3시에 시작된 첫 행사에서 이산가족들은 상봉장에 들어서 헤어진 가족을 확인한 뒤 상봉의 감격을 누렸다. 가족들은 오후 7시부터는 북측 주최로 열린 환영 만찬에서 이야기를 이어갔다. 이들은 21일 개별 상봉을 한 뒤 22일 다시 헤어질 예정이다.

남측의 이금섬 씨(92)는 1950년 피란길에 헤어진 아들 이상철 씨(71)를 보자마자 부둥켜안고 눈물만 펑펑 흘렸다. 금섬씨는 당시 남편도 함께 피란길에 올랐으나 전쟁 통에 헤어진 뒤 생이별을 겪어야 했다. 상철씨는 금섬씨에게 돌아가신 아버지 사진을 보여주며 “아버지 모습입니다. 어머니”라고 말했다. 금섬씨는 상철씨의 북측 가족 사진을 보며 “애들은 몇이나 뒀니”라고 물었다.

한복을 차려 입고 나온 남측의 문현숙 씨(91)는 1950년 당시 헤어진 여동생 영숙(79) 광숙(65) 씨를 만났다. 이들도 서로를 알아보자마자 기쁨과 그리움의 눈물을 흘렸다. 문씨는 오랜 세월 탓에 변해버린 두 동생의 얼굴을 쓰다듬으며 “어렸을 때 모습이 많이 사라졌네, 눈이 많이 컸잖아 네가”라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상봉 직전 세상 떠난 가족도

이산가족이 고령화하면서 안타까운 사연도 속출했다. 분단 이후 65년의 세월이 흐른 만큼 북측의 가족이 먼저 세상을 등진 가족도 다수 있었다. 남측의 조옥현 씨(78)와 남동생 복현씨(69)는 6·25전쟁 때 헤어진 북측 둘째 오빠의 자녀들을 만났다. 조씨는 2000년부터 북측에 있는 오빠 두 명을 찾기 위해 이산가족 찾기를 신청했다. 옥현씨는 올해 초 북측의 둘째 오빠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적십자로부터 전해듣고 안타까움을 금치 못했다고 한다. 복현씨는 이날 처음 만난 북측 조카들에게 “아버지와 형님 생사 확인만이라도 하는 것이 소원이었다. 그런데 만나게 되니 완전히 로또 맞은 기분”이라고 말했다.

남측의 김진수 씨(87)는 올해 1월 북측의 여동생이 세상을 떠난 것으로 확인돼 조카 손명철 씨(45)와 조카며느리 박혜숙 씨(35)를 대신 만났다. 진수씨는 전쟁 통에 어머니와 여동생을 남겨둔 채 홀로 피란길에 올랐다. 김씨는 상봉 전 취재진에게 “나는 아직 살았는데”라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번 상봉에서 부모·자식 간 상봉은 7건이었다. 형제·자매와 재회한 이들은 20여 명이고, 조카를 비롯해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3촌 이상의 상봉이 대부분이었다. 2010년에는 부부, 부모·자식 간 상봉이 23건이었고, 2014년엔 12건, 2015년 5건이었다. 이산가족 고령자와 사망자가 많아지면서 직계가족 간 상봉이 줄어드는 추세다. 남북은 이번 이산가족 상봉자를 100명씩 선정하기로 했지만 남북 각각 11명, 12명이 건강상 이유로 만남을 포기했다.

공동취재단/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