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 포커스
[ 박종관 기자 ]
지난 2월 문재인 대통령은 자율주행 기술을 얹은 현대자동차의 차세대 수소연료전기자동차(FCEV) ‘넥쏘’를 타고 서울 만남의광장 휴게소부터 판교IC까지 10㎞ 구간을 이동했다. 문 대통령은 시승 후 “한국의 수소차와 자율주행차 기술이 세계적 수준으로 올라와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대통령도 반한 친환경 수소차
문 대통령이 시승한 넥쏘는 현대차가 2013년 선보인 세계 첫 수소차 투싼ix FCEV를 잇는 차세대 모델이다. 5분 충전으로 600㎞ 이상 달릴 수 있다.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기반인 넥쏘의 최대 출력은 163마력에 달한다. 영하 30도에서도 시동이 걸린다. 추운 날씨에는 시동이 잘 걸리지 않던 기존 수소차의 약점을 극복했다. ‘10년, 16만㎞’ 수준의 연료전지 내구성도 갖췄다.
수소차는 유해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다.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 기능도 갖추고 있다. 수소차가 ‘궁극(窮極)의 친환경차’로 불리는 이유다. 넥쏘를 한 시간 운행하면 26.9㎏의 공기가 정화된다. 성인(체중 64㎏ 기준) 42.6명이 1시간 동안 호흡할 수 있는 양이다. 넥쏘 10만 대가 2시간 동안 도로 위를 달리면 성인 845만 명이 1시간 동안 호흡할 수 있는 공기가 정화된다. 845만 명은 서울시 전체 인구의 86%에 달하는 규모다.
정부 실책에 손발 묶인 수소차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덕에 수소차에 대한 시장 반응은 뜨거웠다. 넥쏘는 예약 판매를 시작한 지 하루 만에 700대 이상 계약됐다. 넥쏘의 가격은 대당 6890만~7220만원이다. 최대 3500만원의 보조금(정부+지방자치단체)을 받으면 3390만~3720만원에 살 수 있다. 일반 중형 SUV와 비슷한 수준이다.
하지만 정부의 올해 수소차 보조금 지급 계획은 240대에 불과하다. 보조금 지급 대수를 확대할 계획도 없다. 예산을 미리 편성하지 않은 탓이다. 수소차를 주문한 사람 중 상당수가 보조금을 받을 수 없게 돼 구매를 포기해야 할 판이다. 수소차 보조금 정책이 수요 예측에 실패하면서 미래 친환경차 시장의 성장세가 더뎌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한국이 손을 놓고 있는 사이 중국과 일본은 뛰고 있다. 중국은 2020년까지 수소차 5000대, 수소충전소 100곳 이상을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수소차 보급 대수를 4만 대로 늘리고, 충전소를 160곳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독일 역시 현재 50곳 수준인 수소충전소를 내년 말까지 100여 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정부는 뒤늦게 수소차 보급과 관련해 청사진을 공개했다. 2022년까지 전기자동차 35만 대, 수소자동차 1만5000대를 보급하겠다는 게 골자다. 올해 안에 주요 고속도로 휴게소에 수소차 충전소 8기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업계 반응은 냉랭하다. 완성차 업체 관계자는 “친환경차 구매보조금도 예산 부족으로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는데 목표치만 내세우는 게 무슨 소용이냐”고 반문했다.
“수소차 충전소 대폭 늘려야” 지적 커
수소차에 대한 관심이 커진 요즘이 추가 예산을 확보해 보조금 지원을 늘릴 적기라는 지적이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시장에서 수소차에 대한 관심이 환기됐을 때 추가 예산을 확보해서라도 보조금을 늘려야 한다”며 “중·장기적으로는 대당 보조금을 줄이고 지원 대수를 늘려 대중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수소차 충전소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전국에 깔린 수소충전소는 서울 울산 광주 등 14곳에 불과하다. 그나마 9곳은 연구용이다. 서울에는 상암과 양재 등 2곳이 있는데 모두 연구용이다. 양재 충전소는 최근 들어서야 민간에 개방할지를 논의하고 있다. 정부는 2025년까지 수소차 충전소를 210여 곳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관측이 많다. 충전소 한 곳을 건설하는 데 30억원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정부 지원(50%) 예산이 부족한 탓이다.
◆NIE 포인트
수소차가 ‘궁극적 친환경차’로 불리는 이유와 작동원리를 알아보자. 주요국의 수소차 개발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정리해보자. 한국에선 수소차 기술을 보유한 곳이 일부 대기업이라는 이유로 ‘보조금 특혜’ 논란이 일고 있는데 이에 대해 토론해보자
박종관 한국경제신문 산업부 기자 pjk@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