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사설] '댓글 문화' 바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인터넷 댓글로 여론을 조작하려는 사건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국가정보원의 댓글조작 사건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더불어민주당의 당원들이 댓글조작 혐의로 구속됐다.

댓글을 통한 여론 조작 행위는 우리 사회에 생각보다 광범위하게 퍼져있다. 한 사람이 수십 개의 ID를 동원해 댓글을 쓰고, 매크로프로그램으로 댓글 순위를 조작한다는 것은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이다.

댓글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 지난 3월 이뤄진 한 여론조사를 보면 10명 중 8명이 뉴스 댓글이 사회 여론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댓글을 보고 정부정책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는 사람도 43.5%나 됐다. 그런데도 우리 사회는 댓글의 부정적 영향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거의 하고 있지 않다.

우리 사회가 댓글에 휘둘리는 것은 뉴스의 소비 양태와 무관치 않다. 많은 사람이 주로 특정 이슈를 포털의 뉴스를 통해 접한다. 그러다 보니 몇몇 기사에 조직적으로 다는 댓글이 큰 영향력을 갖는다. 여기에는 포털사이트들도 한몫하고 있다. 국내 포털인 네이버와 다음은 댓글정책을 수시로 바꿔왔지만, 댓글을 인기 순위별로 보여줘 경쟁을 부추기는 큰 행태에서는 벗어나지 않았다. 반면 구글과 중국 포털 바이두는 뉴스기사를 클릭하면 언론사 페이지로 넘어간다. 기사를 읽고 의견을 내고 싶으면 해당 언론사 사이트에 댓글을 단다. 뉴욕타임스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동원해 악성 댓글을 자동으로 삭제하고, 독자들의 우수의견을 보여주는 난을 따로 개설했다. 국내 포털들도 참고할 만한 내용들이다. 익명성도 문제다. 언제든지 가짜 ID를 동원할 수 있으니 허위주장과 인신공격이 판을 친다. 댓글이라고 부르기조차 민망한 수준의 글도 많다.

댓글의 폐해가 많다고 해서 댓글 자체를 폐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면 그에 걸맞은 수준의 투명성과 규율을 갖춰야 한다. 권한만 누리고 책임이 없는 지금과 같은 댓글 문화로는 개선을 얘기하기 어렵다. 댓글이 ‘여론의 거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려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