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동욱 기자 ]
삼성전자는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배당 등 주주 몫을 늘리는 등 다양한 노력을 펴고 있다. 특히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비율의 불공정성 논란 이후엔 세계 최고 수준의 선진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0월 파격적인 주주 환원 계획을 발표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배당규모를 9조6000억원으로 확정하는 내용이다. 당시 2017년 예상 배당금 4조8000억원의 두 배 규모였다. 삼성전자 주식을 들고 있는 투자자는 3년 만기 채권처럼 이익을 정기적으로 지급받을 수 있게 하겠다는 의미다. 3년간 지급하는 배당금 총액만 28조8000억원에 달한다.
삼성전자는 배당금 산출 기준을 바꿔 향후 배당금을 확대할 가능성도 열어놨다. 삼성전자는 잉여현금흐름(FCF)의 50%를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소각 등을 통해 주주 이익으로 돌려준다는 주주 환원 산출 원칙을 갖고 있다. 잉여현금흐름은 회사가 벌어들인 돈에서 비용, 투자, 세금 등을 제하고 남은 돈이다. 삼성전자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잉여현금흐름을 계산할 때 인수합병(M&A) 금액은 차감하지 않기로 했다. 대형 M&A가 이뤄져도 주주에게 지급하는 배당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자사주가 대주주 이익을 위해 편법으로 활용된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삼성전자는 지난해 4월 보유 자사주 13.3%(우선주 포함)를 두 번에 걸쳐 전량 소각하겠다고 발표했다. 당시 시가로 45조원 규모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지난해 보유 자사주 절반을 소각했다. 나머지 절반은 올해 소각할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삼성전자는 지난 한 해 동안 9조2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4차에 걸쳐 매입한 뒤 소각했다. 지난해 말 기준 삼성전자 보통주는 1년 전 대비 약 9% 감소했다.
기업지배구조와 경영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들도 잇따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주주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하기 위해 이사회 산하에 거버넌스 위원회를 신설했다. 경영진을 견제한다는 취지에 따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했다.
주주 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영사항을 심의하고 주주와 소통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았다. 올해 주총에선 이사회 중심의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이사회 의장과 대표이사도 분리했다. 종전에는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했다.
사회공헌 지원 절차와 방식도 투명하게 바꿨다. 대기업들의 스포츠, 문화 지원 사업으로 촉발된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계기가 됐다. 삼성전자는 2017년 2월부터 10억원 이상의 모든 후원금은 이사회 의결을 거치도록 못을 박았다. 지원 내용은 전부 외부에 공개된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