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독자의 눈] 원자력은 국가 성장의 원동력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독자 의견·투고 받습니다.
이메일 people@hankyung.com 팩스 (02)360-4350



1950년대 한국은 세계 최빈곤국 중 하나였다. 경제를 발전시키려 해도 부존자원이 없었고, 기술이 좋아도 공장을 돌릴 전기가 모자랐다. 빈곤의 악순환에서 탈피하고자 제시된 대안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원자력발전을 도입하기로 결정했고, 1970년 국내 최초로 고리 1호기 착공을 시작으로 경제개발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원전을 지어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되면서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성공했다. 1964년 농촌 전기 공급량이 전체 가구의 12% 수준이었으나, 1978년 고리 1호기를 준공하고 상업운전을 시작하면서 ‘전력가뭄’을 해갈할 수 있게 됐다. 고리 2호기 준공 즈음인 1983년에는 소비자 물가가 156% 올랐지만 값싼 연료 비용으로 대용량 전력을 생산하는 원전 덕분에 전기요금은 3% 상승에 그쳐 서민 생계에 버팀목 역할을 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에는 에너지의 안정적인 확보와 급변하는 환경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신고리 1, 2호기 등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했다. 노무현 정부 출범 후 고유가 및 온실가스 의무 감축에 대비해 2007년 고리 1호기 계속운전을 결정했고 주민투표를 통해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부지도 선정했다. 1998년 울진 3호기 준공으로 한국형 원전의 우수한 성능을 국내외에 입증할 수 있게 됐고, 한국표준형 원전 수출도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로 현실화됐다. 영국, 체코 등 유럽에서도 한국이 자국 내 원전 건설에 참여하기를 원하고 있다.

역대 국가 지도자의 결단과 국민의 힘이 없었다면 지금의 대한민국은 없었을 것이다. 새 정부도 원자력에 대한 올바른 이해 증진에 힘써주기를 바란다.

한찬희 < 한국수력원자력 아부다비지사 과장 >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