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은 지금… 배조웅 서울경인레미콘조합 이사장
90분 넘으면 굳는 레미콘 몰래 물 붓는 사례도 있어
강도 약해…내구성 문제 발생
불량 레미콘 전량 폐기 조치, 골재 재활용 시스템 정착
낙후된 레미콘 차량 교체 시급, 차량 등록 제한 제도 풀어야
[ 이민하 기자 ]
레미콘은 시멘트와 자갈 등을 물에 섞은 콘크리트 반죽이다. 레미콘의 생명은 약 90분이다. 공사 현장으로 싣고 가다가 90분을 넘으면 굳기 시작한다. 조금이라도 굳으면 건설자재로 쓸 수 없다. 전량 폐기처분해야 한다.
수도권 레미콘업체 단체인 서울경인레미콘공업협동조합은 품질관리와 적기배송 원칙을 세웠다. 지난해부터는 조합사뿐 아니라 전국 업체 대표 및 품질관리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정기 교육도 하고 있다.
배조웅 서울경인레미콘공업협동조합 이사장(국민레미콘 대표)은 13일 “제품이 제때 배송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올해는 불량 레미콘을 뿌리뽑고 품질을 높이는 데 모든 힘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최우선 과제는 품질 개선”
레미콘 공장은 전국적으로 1500여개에 이른다. 수도권에 국내 레미콘 공급 물량의 40% 이상이 집중돼 있다. 중소 업체들뿐 아니라 중견·대기업이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배 이사장은 “업종 특성상 품질 문제가 불거지면 해당 업체뿐 아니라 업계 전체의 평판에 영향을 미친다”며 “과거의 잘못된 관행을 개선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업체들은 이동시간을 넘어서 굳기 시작한 레미콘에 물을 더 부어서 썼다. 굳은 레미콘에 물을 추가하면 다시 부드러워지지만 그만큼 강도가 약해진다. 건축물의 내구성에도 문제가 생긴다. 조합은 잘못된 관행을 고치기 위해 ‘삼진아웃제’ 등을 도입했다. 배 이사장은 “업체 대표와 품질관리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품질관리 교육을 연간 네 차례 하고 있다”며 “삼진아웃제도 시행해 품질 등 문제가 생긴 업체들에는 공공물량 배정을 제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레미콘업체는 의무적으로 분리·폐기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품질에 문제가 생긴 레미콘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모래나 자갈 등 원부자재를 분리하고 나머지를 전량 폐기한다.
조합은 지난해부터 품질 개선을 위한 정기세미나도 열고 있다. 레미콘업계 첫 시도다. 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검증 절차도 강화했다. 업체들이 보유한 원부자재부터 최종 시멘트까지 수시로 수거해 검사하고 있다. 시험 결과는 조합사들에 공개한다.
◆“레미콘 트럭 등록제한 풀어야”
레미콘업계는 레미콘 트럭의 신규 등록 제한을 완화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레미콘 트럭은 8년째 3만여대로 묶여 있다. 국토교통부는 2007년 도입한 ‘건설기계 수급조절제’에 따라 2009년부터 신규 차량 등록을 제한해왔다. 2015년 7월에는 건설기계수급조절위원회가 신규 등록 제한을 올해 7월 말까지 연장했다.
배 이사장은 “레미콘 트럭의 신규 등록을 제한하는 수급조절 정책은 기존 진입자의 이익만 보호한다”며 “레미콘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차량 노후화와 운송사업자의 고령화에 따른 안전사고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골재 수급 문제도 조합이 풀어야 할 숙제다. 레미콘·골재업계는 남해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바닷모래 채취를 놓고 어민·환경단체 등과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배 이사장은 “정부가 모래 채취를 1년간 연장해 일단 급한 불은 껐지만 앞으로 대안을 찾지 못하면 레미콘 공장이 멈출 수 있다”며 “정부가 하루빨리 안정적인 골재 수급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