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인프라 확대 정책은 새로운 투자 기회 제공할 것"
[ 이현진 기자 ] “금리가 올라도,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절대 변하지 않는 것이 바로 인프라 수요입니다.”
호주계 자산운용사인 IFM인베스터스의 브라이언 클라크 IR부문 글로벌 대표(사진)는 1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수도 전기 등 인프라는 필수적인 서비스이기 때문에 시장과 정세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며 “시장 변동성이 급격히 커지는 내년에도 인프라는 안정적인 투자처로 각광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지난 8일 KDB인프라자산운용(키암코)과 양해각서(MOU)를 맺고 한국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키암코와 함께 국내에 해외 인프라대출펀드를 설정하고 NH농협생명 미래에셋생명 동부화재 등 세 개 보험사로부터 자금을 위탁받았다. 자금 규모는 유동적이지만 적어도 1억달러 이상으로 알려졌다. 미국과 유럽의 공항·도로·전력망·수도시설·송유관 등의 회사에 대출해주고 이자를 받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대출기간은 7~20년, 목표 수익률은 연 5~5.2%다.
클라크 대표는 “내년에는 여러모로 투자시장이 급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고 했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것이 대표적이다. 그는 “트럼프의 공약에 따르면 민간 자본이 인프라 시설에 투자하는 데 혜택을 주는 등 인프라 투자를 중시한다”며 “(트럼프의 당선이) 투자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오히려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 다국적 석유기업들이 송유관 등의 자산을 매각할 가능성이 높아져 새로운 투자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트럼프 당선으로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분석도 나오지만 다음달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부 역시 내년 투자 환경에 중요한 요소다. 이 역시 인프라 대출 투자에는 호재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도 덩달아 올라 투자자들이 얻는 수익이 더 늘어나기 때문이다.
최근 2~3년간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해져 투자자산을 찾는 경쟁은 치열해졌다. 자금은 많은데 투자처가 부족하면 자연스레 투자 조건이 나빠진다. 인프라 투자도 예외가 아니다. 이에 대해 클라크 대표는 “전체 유동성이 커지긴 했지만 각국 은행이 인프라 시설에 빌려줄 수 있는 자금 규모는 당국이 제한하고 있다”며 “규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운용사들이 더 적극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IFM인베스터스는 호주의 29개 연기금이 소유한 자산운용사다. 지난 9월 말 기준 555억달러(약 63조원)를 운용하고 있다. 인프라 대출 및 지분투자, 주식투자 등에 특화했다. 향후 한국지사를 설립해 더 다양한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