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아모레퍼시픽·LG생건·코스맥스 조정장서도 상승…다시 주도주로 돌아오는 화장품주

관련종목

2024-06-02 16:35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LG생건·코스맥스 조정장서도 상승…다시 주도주로 돌아오는 화장품주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화장품주 'Again 2015'

    중국·동남아 수출 호조세
    올 주요 기업 영업익 최대 39%↑
    한류 확산 'K뷰티' 후광 효과도



    [ 김동욱 기자 ] 올 들어 다소 주춤했던 화장품주가 다시 주도주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바이오주와 함께 주식시장을 달군 화장품주는 작년 말 이후 고평가 논란에 휩싸이며 적잖은 조정을 받았다. 하지만 뚜렷한 실적 개선세를 이어가는 종목들을 중심으로 다시 상승세를 타고 있다.


    ◆수출주 중 ‘낭중지추’

    4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아모레퍼시픽은 2.28% 상승한 42만5500원에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 올 들어 최고치다. 이달 들어서만 4.42% 올랐다. 한국콜마홀딩스(2.47%)와 코스맥스(1.44%) LG생활건강(0.78%) 코스온(0.92%) 등 다른 화장품 관련주도 두루 상승했다. 이와 함께 이란에서 화장품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코오롱글로벌이 1.17% 뛰었고 화장품 용기 제조업체 연우는 장중에 최근 1년 최고가를 찍었다. 대다수 화장품주가 지난해 하반기 이후 낙폭을 90% 가까이 회복했다.

    지난달 26일 이후 코스피지수가 42.92포인트(2.13%) 빠진 조정장 속에서 화장품주만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이는 이유로는 중국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화장품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점이 꼽힌다. 전통적으로 화장품주는 내수주로 분류됐지만 2~3년 전부터 중국 등으로의 수출이 탄력을 받으면서 주요 수출업종 중 거의 유일하게 고성장을 이어가는 업종으로 꼽힌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화장품 수출 증가율은 2월 22.2%, 3월 38.6%, 4월 34.4% 등으로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출 호조에 힘입어 주요 화장품 업체들의 실적 개선도 뚜렷하다. 업종 대장주 아모레퍼시픽은 올 1분기에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8%, 영업이익은 30.7%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LG생활건강도 지난해에 비해 매출은 16.7%, 영업이익은 30.9% 늘었다.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한국콜마 코스맥스 등 4대 주요 화장품주의 올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5~3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준재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로레알, 에스티로더, 시세이도 등 글로벌 업체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정체된 반면 아모레퍼시픽을 비롯한 한국 업체의 점유율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계속 간다” vs “정점 지났다”

    증권가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화장품주 강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쪽에 쏠려 있다. 박상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지난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 탓에 줄었던 중국인 관광객이 올해는 전년 대비 40%가량 늘어나면서 올 하반기까지 화장품주 강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한류 확산에 따른 ‘K뷰티’ 이미지 제고 효과도 매우 클 것”이라고 거들었다.

    일각에선 화장품주 추격 매수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신중론도 없지 않다. 한국 주요 화장품 업체의 주가수익비율(PER)이 35~39배 수준으로 PER 12~15배 정도인 글로벌 화장품 업체보다 크게 높다는 이유에서다. 중국 스킨케어 시장에서 중국 업체 점유율이 2009년 6.8%에서 2015년 21%까지 높아지는 등 시장 환경 변화를 예측하기 힘들다는 점도 부담이다. 이종우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화장품주는 이미 지난해 하반기에 고점을 찍었고 고평가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며 “장밋빛 전망에 기반을 둔 주가를 기업의 ‘실력’인 것으로 착각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4月 장, 반드시 사둬야 할 新 유망 종목 2선 /3일 무료체험/ ▶ 지금 확인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