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의 반기 환율보고서가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이 일본의 엔저 정책을 더 이상 용인하지 않겠다는 발언이 나왔기 때문이다. 미국도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강력한 양적완화 조치를 취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2012년 시작된 엔저 정책을 묵인해왔던 터였다.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기부양 정책)’의 근간이 되는 엔저 정책에 대해 미국 재무장관이 “일본이 외환시장에 개입할 명분이 없다”고 발언한 것 자체가 충격이 크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미국이 이렇게까지 강한 목소리를 내는 것은 달러화 강세가 지속됨에 따라 앞으로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돼 있다. 더구나 올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대미 무역 흑자국에 대한 대중의 불만을 그냥 둘 수 없는 상황도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미국이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올릴 때 근간이 된 것은 바로 고용지표였다. 완전고용에 가까운 고용지표가 나왔던 그 배경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제조업 육성책이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미국의 발전이 제조업이 아닌 금융 서비스업만을 중심으로 발전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가를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를 통해 경험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제조업을 되살리자고 강조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해외에 나가 있던 기업체들이 다시 미국으로 돌아오는 ‘리쇼어링(reshoring)’ 현상으로 인해 경기 회복과 일자리 창출을 꾀할 수 있었다. 여기에 2014년 하반기 이후 셰일가스 생산량 확대로 국제유가가 하락하면서 제조업체의 비용 부담이 줄어들었다.
그러던 것이 미 달러화 강세로 제동이 걸렸다는 게 미국 정부의 판단이라는 분석이다. 미국은 그동안 정치적 수사에 그쳤던 환율보고서를 강력한 무기로 탈바꿈시켰다. 앞으로 미국의 이런 정책과 관련해 각 나라는 환율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는 고스란히 수출 관련주의 주가 향방을 좌우할 수 있는 요소다. 추이를 주목해야 할 것이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