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도 7천억원 시장 창출
정부, 마중물 역할 시급
[ 김재후 기자 ] 해양심층수를 활용한 ‘해양 신(新)산업’이 4년째 정체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일본 대만 등 주변국들이 같은 기간 많게는 한국의 300배에 달하는 시장 규모를 키워낸 것과는 대조적이다.
15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올해 국내 해양심층수 ‘직접 매출’은 2011년과 같은 수준인 120억원에 머물 것으로 예상됐다. 해수부 관계자는 “직접 매출은 해양심층수를 먹는 물 등으로 판매한 금액”이라며 “국내는 연관 산업이 활발하지 않아 전체 산업 규모도 이와 별반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반면 일본은 이미 해양심층수와 관련된 시장 규모만 3조원에 달한다. 일본 정부가 1986년 아쿠아마린계획을 실시해 현재는 두부 맥주 된장 화장품 건강식품 스파 등 1000여종의 해양심층수 연관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대만도 2005년부터 해양심층수 관련 제품 개발에 나서 식품 주류 화장품 등 250여개 제품을 내놓으며 연간 7000억원 규모의 시장을 창출했다.
한국 정부도 내년부터 해양심층수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 ?팔을 걷어붙였다. 해수부는 2018년까지 관련 시장 활성화 로드맵을 마련하고, 심층수를 활용한 신제품 기술 개발과 관련한 연구개발(R&D) 예산을 올해 5억원에서 내년 20억원으로 끌어올렸다.
하지만 해양심층수 기본계획과 관련한 전체 예산은 여전히 부족하다. 내년 예산도 94억원만 배정됐다. 제대로 된 성과를 내기 어려운 구조다. 사회간접자본(SOC)과 복지 예산 등에 밀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김현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수플랜트연구센터장은 “해양심층수산업이 신산업이기 때문에 기업들이 제품을 생산해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에 오를 때까진 정부가 마중물을 붓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좋아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