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는 감염 차단에 도움안돼
"감염병 보도땐 공포·패닉 등 자극적 용어 쓰지 말아야"
[ 나수지 기자 ] 지난달 한국에서 첫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뒤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대학 2200여곳이 휴업했다. 사람들이 모이는 단체행사는 물론이고 민방위 교육까지 줄줄이 연기됐다. 국제적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의 편집장 눈에 한국의 이런 모습은 무척 의아하게 비쳤다.
12년간 감염병 전문기자로 일한 마르틴 엔서린크 사이언스지 유럽총괄 편집장은 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메르스는 공기로 감염될 가능성이 없는데도 한국에선 학교 휴업 조치가 이뤄지고 길거리에 마스크를 쓴 사람이 많다”며 “메르스에 대해 정확한 정보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부터 나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세계과학기자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다. 엔서린크 편집장은 “한국에선 과장된 보도로 공포가 조성돼 있는 듯하다”며 “공포는 전염병에 대응하는 데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메르스 환자가 발 暉?병원을 공개한 것에 대해선 “관련 병원 정보는 처음부터 공개하는 게 옳았다”며 “병원 명단처럼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는 정보는 정확하게 전달해야 뜬소문이 사그라진다”고 설명했다.
엔서린크 편집장은 전문기자로서 감염병 보도의 네 가지 원칙을 소개했다. 첫째 전문가 검증을 거쳐 정확한 내용만 보도할 것, 둘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물론 정부 발표조차도 의심할 것, 셋째 공포를 조장하지 말 것, 넷째 소문이나 민간요법 등은 보도하지 말 것 등이다.
그는 감염병에 대한 정확한 보도를 위해선 “기사를 내보내기 전 과학자 의사 등 전문가의 검증을 거치라”고 조언했다. 이어 “감염병에는 불확실한 정보와 소문이 따라다니기 마련”이라며 “모든 사실은 의심을 갖고 확인한 뒤 보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회 내 공포를 부추기지 않기 위한 보도원칙도 제시했다. 그는 “기사에서 현실을 묘사할 때 공포 패닉 등 극단적인 단어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며 “독자가 무엇을 조심해야 할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되 실제 상황보다 과장하거나 추측해서 보도하지 말라”고 말했다.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나 민간요법을 보도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3월 나이지리아에서 에볼라가 유행하자 한 언론이 소금물을 마시면 예방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며 “이에 두 명이 소금물을 마시다 탈수증세로 목숨을 잃었다”고 전했다.
SNS와 전염병 공포 확산의 관계에 대해선 두 가지 측면을 모두 봐야 한다고 했다. 그는 “SNS의 등장 이후 소문이나 민간요법이 더 빠르게 퍼지고 있다”면서도 “올바른 정보도 그만큼 빨리 퍼질 수 있는 만큼 정부가 SNS를 적극 활용해 근거 없는 공포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
[강연회_무료] 선강퉁 시대,중국주식 투자전략 대강연회 (24일_서울 여의도 개최) 접수중! 中 현지 애널리스트 초청!
[이슈] 30대 전업투자자 '20억원' 수익 낸 사연...그 비법을 들어봤더니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