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특구 선전이 제2의 실리콘밸리로 급부상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일본이나 한국은 물론 미국 벤처기업까지 선전으로 몰려들고 있다. 최근엔 스타트업들도 가세하고 있다고 한다. 인구 1000만 도시에 기업 수가 곧 100만개를 돌파할 것이라고 한다. 선전증권거래소의 하루 거래액은 100조원이 넘는다. 상장된 벤처도 4년 사이 두 배 이상 늘었다. 벤처기업만이 아니다. 세계 유수의 금융회사도 일찌감치 선전에 둥지를 틀고 다양한 금융상품을 내놓고 있다. 엄청난 자금이 몰려든다고 한다. 대기업들은 벤처의 기술과 노하우를 배우려 안간힘을 쓴다. 반도체 기업 퀄컴은 아예 선전에 글로벌 본부를 두었고, 일본의 도요타나 혼다는 신입사원 연수를 이곳에서 한다. 창업천국 선전의 비상이 놀랍다.
선전은 계획 클러스터로 세워진 중국 개혁개방의 아이콘이었다. 중국 성장을 위해선 일부 지역의 일부 사람이 먼저 부자가 돼야 한다는 덩샤오핑식 선부론(先富論)의 배경이 된 도시다. 30년 동안 연평균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무려 30%에 이르고, 도시 경쟁력도 상하이에 이어 2위다. 불모의 땅에서 이룬 성과였다. 하지만 선전은 외자를 유치하고 가공무역을 통해 발전하던 도시였다. 이런 모델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 한계를 IT 창업으로 돌파했다. 세계 IT기업들의 생산기지로 축적했던 제조 인프라 역량에서 창업의 기운이 싹 튼 것이다. 선전에는 부품가게들이 즐비하고 실험공방도 많이 마련돼 있다. 아이디어가 있으면 바로 시제품을 만들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것이다. 실리콘밸리가 소프트웨어의 클러스터라면 선전은 하드웨어의 클러스터인 셈이다.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완화가 선전의 역량을 획기적으로 키웠다. 회사 설립에 필요한 최저자본금을 없애고 영업허가증 발표절차를 간소화했다. 기업에 필요한 일이면 언제든지 도와주는 시스템을 갖췄다. 한국에서 1년 걸릴 일을 2개월 만에 해낸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한국의 창업기업들이 선전행을 택하고 있다. 시장경제가 일궈낸 산물이다.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선전의 역할이 커질 것이라고 한다. 정부는 이런 사태를 보고만 있을 것인지.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