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국민계정 새 국제기준 적용…2013년 3% 성장
가계소득 비중 56% 불과…저축률도 기업보다 현저히 낮아
[ 김유미 / 마지혜 기자 ]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GNI)이 2만6000달러를 넘어섰다. 집계방식 변화와 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도 예상치를 웃도는 3%를 기록했다. 하지만 국민들의 실제 호주머니 사정은 또 다른 얘기다. 국민소득 가운데 가계의 몫은 유독 낮아 성장의 과실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과 통계의 힘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13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1428조3000억원으로 전년(1377조5000억원)보다 3.7% 증가했다. 달러 기준으로는 1조3043억달러로 전년 대비 증가폭이 6.7%에 달했다. 원화값이 지난해 2.8% 올라 달러로 환산한 경제 규모가 그만큼 커진 것이다.
물가 상승을 감안한 실질GDP 증가율(경제성장률)은 3.0%로 전년(2.3%)보다 개선됐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0.7%까지 급락했던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3.7%(전년 동기 대비)로 뛰며 경기 회복세를 반영했다. 건설투자(6.7%)와 수출(4.3%) 등이 성장률 반등을 이끌었지만 설비투자는 마이너스(-1.5%)로 돌아섰다.
지난해 성장률 3.0%는 지난 1월 속보치였던 2.8%보다 높다. 국민계정체계(SNA) 기준이 ‘2008SNA’로 변경되면서 연구개발(R&D) 투자 등이 GDP에 새롭게 잡힌 결과다.
○교역조건도 개선
국민들이 해외에서 번 소득을 GDP에 더한 뒤 인구 수로 나누면 1인당 국민소득(GNI)이 나온다.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6205달러(약 2869만5000원)로 2012년(2만4696달러)보다 1509달러(6.1%) 늘어났다. 2007년 2만달러에 진입한 1인당 GNI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만달러대로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했다.
김정식 한국경제학회장은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에 가까워진 데는 환율효과와 통계기준 변화가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국민들이 국내외에서 번 소득의 실제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GNI는 작년보다 4.0% 증가했다. 경제성장률을 웃도는 수치다. 수입제품값이 내리고 수출제품값이 오르는 등 교역조건이 좋아진 데 따른 것이다.
○국민 체감경기 ‘썰렁’
세금과 연금 등을 빼고 개인이 임의로 쓸 수 있는 소득을 뜻하는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4690달러(약 1580만원)로 전년보다 1020달러 늘어났다. PGDI는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사정을 가까이 반영하는 지표다. 2009년 이후 꾸준하게 늘었지만 경기 회복을 체감하기엔 부족했다.
실제로 가계·기업·정부 소득을 포함한 1인당 GNI에서 가계 몫인 PGDI 비중은 56.1%에 머물렀다. 2010~2012년의 55%대를 벗어났지만 2009년(57.5%)보다는 여전히 낮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인 62.6%(2012년 기준)에도 크게 못 미친다.
이지은 한은 국민소득총괄팀 과장은 “국민소득 가운데 가계 비중은 OECD 주요 25개국 가운데 18위”라며 “미국(74.2%) 영국(69.0%) 일본(64.2%) 등 선진국과는 특히 큰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경기 회복을 체감하지 못하다 보니 집집마다 허리띠를 졸라맸다. 이에 따라 가계저축률은 바뀐 통계가 적용된 2007년 이후 최고인 4.5%를 기록했다. 하지만 투자할 곳이 없어 돈을 쌓아놓고 있는 기업의 저축률(21.5%)보다는 여전히 낮다.
임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대기업에서 중소기업, 고소득층에서 서민으로 경제 성장의 과실이 골고루 나눠지려면 현재의 성장률로는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 GDP(국내총생산)
한 국가의 경제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수량에 당시의 가격을 곱하면 명목GDP가 된다. 물가변동을 제외하고 생산수량 변화만 보려면 기준연도(2010년)의 가격을 곱해주면 되는데, 이것이 실질GDP다. 경제성장률은 실질GDP의 증가율로 나타낸다.
■ GDI(국내총소득)
GDP에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을 더한 것. 국내 생산물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낸다.
■ GNI(국민총소득)
모든 국민이 국내외 생산활동에서 벌어들인 소득. 국내총소득(GDI)에서 외국인이 국내에서 번 소득을 빼고 국민이 해외에서 거둔 소득을 더한다. 이를 인구 수로 나눈 1인당 국민소득은 한 국가의 생활수준을 보여준다.
■ PGDI(가계총처분가능소득)
가계 구매력을 보여주는 지표. 가계소득에서 세금과 연금 등을 빼고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
김유미/마지혜 기자 warmfront@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