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존경하는 한국기업인 있는가, 한국인 71% "없다" 외국인 65% "있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왜 기업가 정신인가 <1부>기업가정신과 그 敵들 (1)끝없이 추락하는 기업가정신

한경·상의·현대경제硏 공동 설문
국민 37% "대기업은 비리 많고 자기 이익만 챙기는 집단"
기업인 대다수 "후진적 노사문화가 기업가정신 위축시켜"



한국 사회에서 기업·기업가는 ‘양면성’을 갖는 존재다. 역사적으로도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끈 주역이란 평가와 함께 성장의 과실을 독차지한다는 질시를 동시에 받았다. 국민 정서도 비슷하다. 경제가 위기를 맞는 순간 기업의 역할에 거는 기대는 높아지지만 반(反)기업 정서도 그에 비례해 확산하는 추세다. 본지가 대한상공회의소, 현대경제연구원과 함께 일반 국민, 기업인, 외국인 등 총 1102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국민 상당수가 기업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평가는 인색했다. 반면 기업인은 반기업 정서가 확산되는 것에 대한 답답함을 토로했다.

인정받지 못하는 한국 기업

기업은 어떤 존재일까. ‘기업의 본질이 뭐냐’는 질문에 국민 42.6%는 ‘이윤 창출’을 꼽았다. ‘일자리 창출’을 꼽는 의견도 39.7%에 달했다. 저성장 시대를 극복해야 한다는 인식도 강했다. 국민 51.4%와 기업인 52%가 현 경제 상황을 ‘심각한 저성장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을 냈다. 경제 살리기가 시급하지만 이에 가장 소극적인 집단으로는 정치인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국민 64%, 기업인 56.4%가 ‘정치인’을 경제 살리기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았다. 반면 기업인을 꼽은 의견은 각각 9.1%와 2%였다. 정치인보다 기업인의 역할을 상대적으로 중시한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기업에 대한 인식은 세부 문항으로 들어갈수록 ‘부정적’으로 바뀌었다. 대기업을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 국민 10명 중 6명(62.1%)은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는 집단’ 혹은 ‘부정적 측면도 있지만 국가 경제를 위해 필요한 집단’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자신들의 이익만 챙기는 집단’ ‘각종 비리가 많아 감시해야 할 집단’으로 보는 시각도 37%에 달했다. 같은 질문에 대해 외국인은 79%가 대기업의 순기능을 인정했으며,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은 13.7%에 그쳤다. 우리 사회에서 대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인식은 ‘삼성전자가 사상 최대 이익을 낸 것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서 더욱 뚜렷하게 드러났다. 국민의 27.1%만이 ‘국가 경제에 큰 도움이 되는 일’이라고 답했을 뿐 70%가량은 ‘지나치게 부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 ‘중소 협력사를 쥐어짜서 거둔 성과’ ‘삼성 임직원만의 잔치일 뿐’이라는 부정적 의견을 냈다. 김정호 연세대 경제대학원 특임교수는 “경제가 나아지기를 바라면서도 성장보다 분배에 더 관심을 갖는 이중적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기업 정서의 원인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국민의 57%가 ‘배임 횡령 등 기업의 일탈 행위’를 원인으로 꼽았다. ‘정치권의 포퓰리즘’(13.9%) ‘기업과 기업인에 대한 잘못된 교육’(9.2%)이란 의견은 소수였다. 같은 질문에 대해 기업인의 32.7%가 ‘정치권의 포퓰리즘’을 꼽은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인식 차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설 자리 잃어가는 기업가정신

기업가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 인식도 상당했다. 존경하는 기업가가 있느냐는 질문에 ‘없다’가 71%에 달했다. 같은 질문에 외국인들은 65.3%가 ‘존경하는 한국 기업·기업인이 있다’고 답했다. 바꿔 말하면 외국인 10명 중 7명은 세계적 기업을 일군 한국 기업인들을 대단하다고 여기는 반면 한국인의 70% 이상은 한국 기업인이 존경받을 가치가 없다고 여긴다는 의미다.

기업가가 존경받지 못하는 현실은 곧 기업가정신의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업인 대상 설문조사에서 이런 우려가 확연히 드러났다. 기업인은 기업가정신이 가장 활발했을 때를 ‘10’으로 봤을 때 현재의 기업가정신 수준을 ‘6.3’이라고 평가했다. 기업가정신이 위축된 이유로는 ‘후진적 노사문화’(23.8%)와 ‘기업 관련 규제’(23.3%)를 꼽는 의견이 많았다. 1970·1980년대 고도 성장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기업 경영환경이 악화됐다는 지적이다. 기업 경영에 부담을 주는 제도·규제로는 ‘통상임금 범위 확대’(33.2%)와 ‘근로시간 단축’(25.2%)을 꼽는 의견이 많았다.

기업가정신을 회복시키기 위한 선결 과제로는 ‘정치인이 의식을 개혁해야 한다’(27.7%)고 답한 기업인이 가장 많았으며, ‘기업하기 좋게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23.8%) ‘협력적 노사관계를 구축해야 한다’(13.4%) 등이 뒤를 이었다. 전삼현 숭실대 법학과 교수는 “기업을 옥죄는 제도를 고치고 기업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의식도 바꿔야 기업가정신이 살아나고 경제도 회복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별취재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