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 작년말 127만명…5개월새 2.6배 증가
월 5만원대 요금→ 3만원대 '뚝'…새 정부 지원사격 성장 기대감
CJ헬로비전 등 케이블 업체…이마트·홈플러스 잇단 출사표
통신사간 보조금 경쟁 과열…기존 단말기 유통 구조 '걸림돌'
“알뜰폰(이동통신재판매·MVNO)으로 바꾼 뒤 6만원 가까이 나오던 통신요금이 3만원대로 줄었습니다.”
중소기업 부장으로 일하는 A씨의 말이다. A씨가 이용하던 기존 통신사 요금제는 음성통화 200분, 데이터 500메가바이트(MB)를 쓸 수 있었다. 와이파이(WiFi)가 가능한 집과 사무실에서 인터넷 검색 등만 주로 사용하는 A씨에게 이렇게 많은 양의 데이터는 필요 없었다. 쓰지도 않는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내고 있었던 셈이다. 통신비를 아끼는 방법을 알아보던 A씨는 그에게 맞는 알뜰폰 요금제를 찾아냈다. 음성통화량을 늘리고, 데이터량은 확 줄인 요금제였다.
올해 알뜰폰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A씨와 같이 통신비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알뜰폰으로 갈아타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는 얘기다. 시장 환경도 무르익었다. 알뜰폰 사업자가 증가하고 있다. CJ헬로비전 등 대형 케이블 업체에 이어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 유통업체들도 출사표를 던졌다. 내달 출범할 새 정부도 알뜰폰 지원 사격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알뜰폰 서비스 활성화 등 가계 통신비 절감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이었다.
○알뜰폰 가입자 127만명
국내 알뜰폰 이용자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126만8000명이다.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가운데 2.37%를 차지하고 있다. 2011년 7월 47만6000명과 비교하면 가입자가 2.6배 늘었다.
알뜰폰은 사업자들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사의 통신망을 빌려 제공하는 통신상품이다. 통신사들의 망을 그대로 쓰기 때문에 통화 품질이 동일하면서도 요금은 20~30%가량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기존 통신사 요금제는 기본료가 월 1만1000원인 데 비해 알뜰폰은 5500원이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망을 빌려 쓰기 때문에 수조원대의 망 설비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에 마케팅 비용 등도 줄여 기존 통신사보다 싼 상품을 내놓을 수 있는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011년 하반기 통신비 인하 대책 가운데 하나로 알뜰폰 활성화 정책을 내세웠다. 장기적으로 알뜰폰 점유율을 10%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방통위의 목표다.
○늘어나는 사업자…대형마트도 가세
방통위에 따르면 현재 국내 알뜰폰 사업자는 총 26개에 이른다. 올해는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 유통업체들이 뛰어들어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는 전망이다.
CJ헬로비전 등은 알뜰폰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1월 ‘헬로모바일’ 서비스를 시작한 CJ헬로비전은 9월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로까지 영역을 넓혔다. 지난해 8월 서비스를 시작한 티브로드 역시 올해부터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유심(USIM·이용자 식별모듈)카드 판매 등 선불요금제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앞으로는 스마트폰 판매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6월 선불요금제 중심의 ‘세븐 모바일’ 상품을 내놓은 SK텔링크는 올해부터 후불제 상품 판매를 시작했다.
국제·시외전화 등 통신서비스 업체인 온세텔레콤도 지난해 5월 ‘스노우맨’이란 브랜드로 알뜰폰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마트와 홈플러스는 올해 상반기 중 사업을 시작한다. 홈플러스는 올해 초 “5년 이내에 알뜰폰 가입자 100만명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편의점인 세븐일레븐도 지난해 11월 8만원대 휴대폰을 내놓으며 가세했다. 기존 알뜰폰 업체가 유통망 확보와 단말기 수급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과 달리 이마트와 홈플러스는 전국 147개, 133개 점포를 알뜰폰 유통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유통망과 자금력을 갖춰 제조사와의 단말기 수급 협상에서도 밀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 중소 알뜰폰업체 관계자는 “대형 유통업체가 알뜰폰 인지도를 높이고 시장 파이를 키우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사업자가 늘어나면 경쟁 구도가 형성돼 서비스 품질이 나아지고 이용자가 증가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단말기 자급제 활성화 등 ‘과제’
알뜰폰 시장을 키우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먼저 기존 통신사의 보조금 경쟁이 알뜰폰 사업자를 위협하고 있다. 비싼 통신요금에도 불구하고 최신 스마트폰 등에 막대한 보조금을 주는 기존 통신사로 소비자들이 몰리고 있다. 통신사들의 마케팅 비용은 연간 7조원에 이른다.
기존 통신사 중심의 단말기 유통 구조도 걸림돌이다. 지난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 자급제가 시행됐다. 스마트폰을 일반 매장에서 구입한 뒤 통신사에 가입하는 제도다. 그러나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단말기 사양이 낮고 종류도 적기 때문이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최근 내놓은 보고서에서 “위약금 등 기존 통신사 가입자들이 알뜰폰으로 이동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너무 크다”고 분석했다. “아직 출범 초기인 데다 자금력에서 밀리는 알뜰폰 사업자들이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내놓지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
▶ '개콘' 김대희, 족발집 '몰빵' 한달 챙기는 돈이
▶ 박신양이 자랑한 '7천만원대' 신혼집 보니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대반전
▶ 완벽 미모女 "남편이 시도 때도 없이…"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논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