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증권은 4일
LG생명과학에 대해 당뇨치료신약과 Hib 백신이 성장의 두 축이라며 목표주가를 6만5000원으로 상향조정했다.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
김나연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LG생명과학의 4분기 실적은 IFRS연결기준 매출액 1196억원(전년대비 +23.2%), 영업이익 130억원(+719.8%), 순이익 101억원(+952.6%)으로 시장 컨센서스(19억원)를 크게 상회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상회하는 이유는 일본 모치다와의 바이오시밀러 공동 개발 계약과 사노피와의 당뇨치료제 글로벌 판권 계약에 따른 선급금(약 100억원 이상)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김 애널리스트는 LG생명과학은 이번 계약으로 러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 약 80개국에 대한 마케팅 파트너링을 체결했으며 출시 이전까지의 마일스톤 페이먼트 약 1000억원이 확보됨과 동시에 매출발생 시점 제품의 원제, 완제 공급과 판매로열티 수익이 가능해졌다며 이외에도 유럽, 남미 시장에 대한 판매 협의도 진행 중에 있어 1분기 추가 로열티 수익도 전망해 볼 수 있다고 했다.
이 계약의 기본 구조는 마일스톤 수수료, 러닝 로열티, 제조 마진으로 구성되어 있다며 판매사와의 이익을 공유하더라도 30% 이상의 이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 LG생명과학의 수익성 개선에 중요한 의약품으로 자리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대우증권은 LG생명과학의 실적이 2012년을 저점으로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했다. 이는 12월 DPP-4 inhibitor(당뇨치료신약, 제미글로)의 국내 출시와 파머징 국가로의 라이센싱 아웃에 따른 로열티 수익, 프리미엄백신, Sr-hGH(1주일제형의 인성장 호르몬)등의 해외수출 및 신제품 출시 효과에 따른 매출증가를 전망하기 때문이다.
그는 2013년 새해 복지부 예산 최종안에 의하면 영유아 필수예방접종 항목에 뇌수막염이 추가되면서 동사 Hib 백신의 국내 추가 매출(2013년 국내 필요량 120만 도즈 중 75% 공급, 2014년부터 90% 이상 공급예정)도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당뇨치료신약 출시 및 혼합백신 수출이 시작되는 2013년 하반기부터 해외부문의 매출증가가 기대된다며 5가 백신 PAHO 입찰확정(2013년 40만 dose)에 이어 U
NICEF 입찰결과에 대한 결과도 1분기 내로 확정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LG생명과학의 행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
▶ 20대男 "부킹女와 모텔 갔지만…" 반전에 충격
▶ 女교사, 트위터에 올린 음란한 사진 '헉'
▶ 이봉원, 박미선 몰래 사채썼다 빚이 7억 '충격'
▶ 유명 女배우, 임신 7주차 '속도위반' 밝혀져!
▶ '한성주 동영상' 적나라한 진실 드러나 '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