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성장 지역불균형 심화…"지역 특화기업 키워야"
상의 SGI 분석…비수도권, 경제성장률 하락폭 크고 창업도 저부가업종 중심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지역 불균형 성장 문제를 해결하려면 산업·기술 패러다임 전환에 맞춰 지역별 특화기업을 키워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23일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산업역동성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지역내총생산(GRDP)이 위축되고 인구 유출 등으로 소멸 위기에 빠진 지역을 되살리려면 산업 역동성 강화가 필수"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역별로 특화된 혁신기업의 탄생과 성장, 글로벌 선도기업 유치 등이 활발히 이뤄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SGI가 금융위기 전후 비수도권의 경제성장률을 계산한 결과 2000∼2007년 4.9%에서 2010∼2021년 1.9%로 낮아졌으며, 인구도 계속 감소했다.
수도권도 같은 기간 경제성장률이 5.4%에서 3.4%로 낮아졌으나 하락 폭은 비수도권보다 작아 지역 간 불균형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수도권에서 생겨난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고성장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신생 기업 중 지난 3년간 매출액이 연평균 20% 이상 늘어난 기업을 뜻하는 '가젤기업' 수는 수도권에서 2011년 1천586개에서 2021년 1천986개로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비수도권에서는 1천179개에서 1천51개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창업 구성면에서도 비수도권은 저부가 업종 비중이 컸다. 비수도권 창업 기업 중 정보통신, 금융보험, 전문과학기술 등 고부가 서비스업 비중은 2020년 기준 3.8%로 수도권의 8.0%보다 낮았다.
지역 소멸을 막으려면 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SGI는 강조했다.
실제로 반도체, 이차전지,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글로벌 기업들이 있는 경기 평택·용인·화성·이천·파주, 충북 청주, 충남 천안·아산 등 지역은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다.
또 지역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방안으로 SGI는 ▲ 지방투자촉진법의 조속한 국회 처리 ▲ 첨단산업 리쇼어링 지원 ▲ 혁신형 창업생태계 구축 등을 제안했다.
김천구 SGI 연구위원은 "일차적으로 우수한 기업들이 지역에 설립되면 노동수요가 늘어나 인구가 유입된다"며 "이는 교육, 여가·스포츠, 숙박·음식업 등 또 다른 수요를 창출해 인프라 확대와 새로운 서비스 일자리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수익성 악화로 해외로 빠져나가려는 기업들을 지역으로 이전시키고 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알맞은 반도체, 그린 비즈니스, 첨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관련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산업 경쟁력을 키우는 방법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ric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