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63.92

  • 19.82
  • 0.72%
코스닥

858.95

  • 0.01
  • 0.00%
1/2

IEA "올해 석유수요 역대 최대…경기부진에 증가세 둔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IEA "올해 석유수요 역대 최대…경기부진에 증가세 둔화"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IEA "올해 석유수요 역대 최대…경기부진에 증가세 둔화"
하루 1억200만 배럴 추산…중국, 수요 증가량 70% 차지
러 수출량 2년만에 최소…'전쟁자금' 수출액도 1년전 반토막


(서울=연합뉴스) 송진원 기자 = 올해 전 세계 석유 수요량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경기부진 여파로 증가세는 예상보다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13일(현지시간) 발표한 2023년 7월 석유 시장 보고서에서 올해 전 세계 석유 수요는 하루 220만 배럴 증가해 사상 최고치인 하루 1억210만 배럴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는 지난달 예측치보다 약 22만 배럴 줄어든 것이다. IEA는 증가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것은 올해 처음이라고 밝혔다.
IEA는 "세계 석유 수요가 험난한 경제 환경에 압박받고 있다"며 "특히 많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지난 12개월 급격한 긴축 통화정책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유럽의 수요는 산업 활동의 급격한 둔화로 인해 약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올해 석유 수요 증가량의 약 70%는 중국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IEA는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에서 회복하며 올 하반기 경기 반등에 속도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 석유 공급량은 지난달 하루 1억180만 배럴을 기록했으나 사우디아라비아가 추가 감산을 단행함에 따라 이번 달에는 급격히 감소할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하루 1천만 배럴이던 원유 생산량을 이달부터 900만 배럴로 100만 배럴 줄이기로 했다. 내달에도 감산 기조를 이어간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으로부터 석유 수출 제재를 받는 러시아의 지난달 석유 수출량은 60만 배럴 감소한 730만 배럴로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예상 수출 수입도 15억 달러(약 1조9천억원) 줄어든 118억 달러(약 14조9천억원)로 1년 전의 반토막 수준이다.
러시아는 유가 하락과 수출액 감소를 막기 위해 내달부터 하루 50만 배럴 추가 감산에 들어가기로 했다.
s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