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한 인플레 속 OECD 내 3%대 물가 상승률 5개국 어디?
4월 기준 한국 3.7%…회원국 평균 7.4%의 절반 수준
"주요국 대비 선제적 금리인상·높은 변동금리 비중에 긴축효과 커"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글로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상황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 이하로 떨어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은 한국을 포함해 5개국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은행의 이른 금리인상과 높은 변동금리 대출 비중 등으로 인해 통화긴축 효과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나타나면서 물가가 어느 정도 안정을 찾은 것으로 풀이된다.
6일 OECD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을 발표한 35개 회원국 중 3%대 이하를 기록한 곳은 5개국으로 집계됐다.
스위스의 물가 상승률이 2.6%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았고, 그리스가 3.0%, 일본이 3.5%, 한국과 룩셈부르크가 각 3.7%였다.
나머지 나라의 물가 상승률은 모두 4% 이상이었다. 캐나다 4.4%, 미국 4.9%, 벨기에 5.6%, 프랑스 5.9%, 독일 7.2%, 영국 7.8%, 이탈리아 8.2% 등 선진국 대부분이 여전히 고물가에 신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4월 물가 상승률(3.7%)은 OECD 평균(7.4%)의 절반에 불과하고, 주요 20개국(G20) 평균인 6.5%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편이다.
OECD 회원국 중 4월 기준 물가 상승률이 1년 전과 비교해 더 높아진 곳은 프랑스와 독일을 포함한 17곳이었고, 낮아진 회원국은 한국과 미국 등 16곳이었다.
영국과 스위스 등 2곳은 물가 상승폭에 변동이 없었다.
한국 물가 상승률이 OECD 내에서도 비교적 빠르게 안정된 것에는 여러 배경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우선 우리나라가 주요국에 비해 이르게 금리 인상을 시작한 데다, 속도 역시 빨랐던 점이 꼽힌다.
한국은행은 최근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는 통화긴축 기조를 주요국보다 반년 정도 일찍 시작했다"면서 "2021년 8월 통화정책 정상화에 착수, 2023년 1월까지 역사상 가장 빠른 금리인상(300bp·1bp=0.01%포인트)을 단행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경제 성장세가 약화됐지만, 물가도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작년 4분기 국내총생산(GDP) 역성장 이후 경기하방 압력이 커지고 물가오름세도 3∼4%대로 낮아지면서 우리 경제에 대해 평가가 엇갈리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높은 변동금리 대출 비중도 통화긴축 효과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나타나는 데 일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예금은행 대출잔액 기준 우리나라 가계는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약 75%, 기업은 약 65%에 달해 금리 인상이 곧바로 부채를 보유한 가계와 기업의 이자부담 증가로 연결되는 구조다.
다만 전체 물가 상승폭이 내려가고 있지만 근원물가 상승폭이 더디게 둔화하는 점은 여전히 우려된다.
우리나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월 4.2%, 4월 3.7%, 5월 3.3%까지 떨어졌지만,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은 3월 4.0%, 4월 4.0%, 5월 3.9% 등으로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한은은 "근원물가 상승률이 올해 중반까지는 소비자물가에 비해 더딘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중반 2%대로 낮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이후 다시 높아져 등락하다가 연말께 3%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pdhis9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