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울릉도·독도에 동식물 661종 서식"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4/25/AKR20230425072600017_01_i.jpg)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울릉도에서 학계에 보고된 적 없는 날개응애류 2종이 발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과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회원기관과 공동으로 추진한 2022년 공동학술조사 결과보고서 '경상북도 울릉군 일대의 생물다양성'을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기관연합은 중앙과학관 등 국내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국립 및 공사립 기관 61곳이 참여한 연합체다. 매년 공동학술조사를 진행해 전국 10개 권역의 장기적 생물다양성 변화상을 조사한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4/25/AKR20230425072600017_05_i.jpg)
이번 보고서에는 지난해 5월과 8월 울릉도·독도 일대에서 진행한 조사 결과가 담겼다. 조사에는 22개 기관 전문가 108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이 일대에는 곤충 259종, 식물 216종, 조류 74종, 어류 10종, 버섯 50종, 해양생물 144종, 거미 및 날개응애류 107종 등 동·식물 661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울릉도 태하령에서 날개응애류 신종후보종 2종과 한국미기록종 6종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날개응애류는 거미강 날개응애목 동물로 유기물과 곰팡이, 선충류 등 작은 동물이나 사체를 먹어 토양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4/25/AKR20230425072600017_03_i.jpg)
버섯 중에는 갈색자루접시버섯, 배꼽컴주발버섯, 흰갈대버섯, 혓바늘목 등 20종이 처음으로 울릉도에서 관찰됐다.
어류는 참갈겨니와 검정꾹저구 등 울릉도에서 보고된 적 없던 종이 발견됐다. 참갈겨니는 앞서 미꾸리, 동사리처럼 내륙에서 인위적으로 유입된 종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4/25/AKR20230425072600017_02_i.jpg)
기관연합은 26~27일 국립대구과학관에서 총회를 열어 조사 성과를 평가하고, 포스터 발표를 통해 연구를 공개할 예정이다.
또 새롭게 발견된 날개응애류는 상반기 중 국제학술지를 통해 발표하기로 했다.
이석래 중앙과학관 관장은 "이번 공동학술조사를 통해 한반도 및 울릉도·독도 일대의 분류, 계통 및 생물지리학적 연구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주기적인 조사·관찰을 통해 생물상 변화 추이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4/25/AKR20230425072600017_06_i.jpg)
shj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