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남철수 마지막 배 美기관사 "단 한명의 한국인도 울지 않았다"
메러디스 빅토리호 생존 선원, 72년 전 가족에 보낸 편지 첫 공개
군수물자 25t 버리고 피난민 1만4천명 태워…사상 최대 구출작전
"불빛도 난방도 화장실도 없이 항해…배에서 죽은 아이들 바다로 던져져"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그 참혹한 전쟁 중에 아이들을 포함해 단 한 명의 한국인도 우는 모습을 보지 못했습니다."
72년 전 한국 전쟁 중에 벌어진 흥남철수작전에 맨 마지막으로 투입돼 사상 최대 구출작전이라는 '크리스마스의 기적'을 이룬, 미국 화물선의 생존 기관사는 전쟁의 참상 속에서도 눈물을 흘리지 않았던 한국인들의 다부진 모습을 아직 잊지 못한다.
미국 상선 '메러디스 빅토리'호의 3등 기관사로 흥남철수 작전에 참여한 멀 스미스(94) 씨는 최근 뉴욕주 자택에서 진행된 한국전쟁유업재단(이하 유업재단) 한종우 이사장과의 인터뷰에서 '아무도 울지 않았다'는 말을 6차례나 반복했다고 한다.
22일(현지시간) 유업재단에 따르면 스미스는 플로리다주에 사는 당시 항해사 벌리 스미스 씨와 함께 메러디스 빅토리호의 유이한 생존자다. 두 사람은 성이 같지만 혈연관계는 아니다.
멀 스미스 씨가 유업재단을 통해 최초로 공개한 당시 편지와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면 그는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에 민간인 선원으로 참여하면서 한국전쟁과 인연을 맺었다.
요코하마를 떠나 인천까지 배로 군수품과 병력을 실어나르던 중 태풍을 만나 갑판에 있던 트럭이 뒤집어지고 그 안에 보관하던 지뢰가 빠져나오는 아찔한 순간도 경험했다고 스미스는 전했다.
그는 9월18일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모든 트럭에 폭발물이 실려있었는데 누군가 계속 조명탄을 쏴서 불안했다"고 말했다.
인천 상륙 후 서울까지 이동한 그는 "가는 길에 아이들을 많이 봤는데 아무도 울지 않더라. 이런 상황에서도 어떻게 울지 않을 수 있는지 모르겠다. 그 참혹한 상황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한국인의 강인한 의지를 목격하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라고 강조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북진한 미군과 한국군이 중공군의 원산 점령으로 퇴로가 차단되면서 고립되자 이들을 구하기 위한 흥남철수 작전에 투입됐다.
스미스는 12월10일 가족들에게 보낸 흥남발(發) 편지에서 "1천명의 병사를 (메러디스 빅토리호에) 태워 데려오라는 말을 들었다"며 "여기서 우리는 역사상 최대 규모라고 하는 기뢰밭을 통과해야 했다"고 전했다.
메러디스 빅토리호는 그해 12월 22일 흥남철수작전에 193번째 선박으로 투입됐다. 당초엔 군 병력과 무기 등 군수품을 싣고 철수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피난민이 몰려들자 배에 실려 있던 25만t의 군수물자를 바다에 버리고 1만4천 명의 피란민을 대피시키는 사상 최대 구출 작전으로 임무가 바뀌었다. 그리고 메러디스 빅토리호는 흥남철수작전에 투입된 마지막 배가 됐다.
이틀간의 항해 끝에 경남 거제로 피란민들을 싣고 온 스미스씨는 12월25일 거제도에서 보낸 편지에서 "내가 살아있는 한 영원히 잊을 수 없는 크리스마스"라며 "우리가 실은 화물은 다름 아닌 1만4천 명의 피란민이었다. 12월22일에 그들을 싣고 23일 아침에 떠났다"라고 설명했다.
화물선에 만 명이 넘는 민간인을 태우고 항해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았다. 식량과 물은 48명의 선원이 먹을 분량밖에 없었고, 피란민들은 불빛도 난방도 전혀 없는 선창 내 3층 갑판의 나무판자 위에 무릎을 세워 다닥다닥 붙어 앉아야 했다고 스미스는 설명했다. 화장실이 없어 양동이 몇 개로 볼일을 해결해야 했다.
철수 과정에서 민간인 희생자도 적지 않았다. 스미스는 "많은 이들이 죽어갔고, 실제로 죽었다. 아이들도 (배 안에서) 계속 태어났다"라며 "죽은 아이들 다수는 부모들에 의해 바다로 던져졌다"고 말했다.
특히 흥남에서 출항하기 직전 배에 탄 어린 소녀가 사망하자 아버지가 아이를 바닷가에 묻어주기 위해 배에서 내리는 일도 있었다고 스미스는 전했다. 배는 한 시간 후 출발했으나 아버지가 다시 탑승했는지는 파악되지 않았다.
스미스는 가족들에게 "여기서 이 사람들이 겪은 일들은 도저히 상상하지 못할 것"이라면서 "이 사람들이 유럽인들처럼 미국에 사는 친척이 없다는 게 너무 안타깝다"고 적었다.
한편, 유업재단은 앞서 4월 말 인도에서 중립국포로송환위원회 활동에 참여한 참전용사와 60공정야전병원에서 근무했던 군인들의 유족들을 인터뷰해 한국전쟁에 참여한 22개국의 참전용사 증언을 모두 수집했다고 밝혔다.
한 이사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인도 방문을 통해 국가보훈처의 지원으로 2012년부터 시작된 유엔 참전용사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이 완성됐다"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22개 참전국 용사들의 인터뷰를 갖게 돼 이들의 사후에도 한국전쟁의 세계사적 의의를 영원히 기릴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firstcirc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