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코로나19 유행 후 '죽고 싶다' '우울감' 검색 증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코로나19 유행 후 '죽고 싶다' '우울감' 검색 증가"
고려대 의대 연구팀, 포털 검색어 분석으로 '코로나 블루' 확인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코로나19 유행 이후 포털 사이트에서 '죽고 싶다', '우울감' 등의 검색량이 많이 늘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털 검색어 분석을 통해 '코로나 블루'(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불안·우울) 현상을 밝혀낸 공중보건학적 연구다.
고려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천병철 교수 연구팀은 주요 우울장애의 정의에 따른 16개 검색어를 선정한 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네이버 검색어 트렌드를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에는 지난 2월 고려대 의대를 졸업한 김지은·한주희 양이 재학 중 학생연구원으로 함께 참여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유행 전과 비교해 '의욕 저하', '불면증', '좌불안석', '피로감' 등의 상대 검색량이 유행 이후 유의하게 증가했다. '우울감'과 '집중력 저하'는 남성에서, '무기력함'은 여성에서 유의하게 증가했다. 특히 '죽고 싶다'와 '죄책감'은 유행 초기에는 증가하지 않았다가 유행이 진행되고 길어지면서 유의하게 검색량이 증가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 1년간 검색량을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됐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를 비교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이상에서 '우울감', '좌불안석', '집중력저하', '우유부단' 등에 대한 검색량이 유의하게 늘었다.
'불면증' 등의 검색량은 유행 초기에 높다가 낮아진 반면 '죽고 싶다'는 유행이 길어지면서 지속해서 증가했다. 이는 단순한 우울감을 넘어 자살 등을 생각하는 중증 단계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대목이라고 연구팀은 해석했다.
천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우울증 관련 증상의 검색량 추이가 증가한 것을 통계적으로 증명해 그간 추측해온 코로나와 대중의 우울감의 상관관계를 간접적으로 증명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에 게재됐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