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국민지원금에 가계소득 역대 최대폭 늘었지만 소비성향은 최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국민지원금에 가계소득 역대 최대폭 늘었지만 소비성향은 최저
처분가능소득 중 67.4%만 소비 지출
"당장 소비 여력 생겨도 미래 불확실성 대비"



(세종=연합뉴스) 김다혜 기자 = 경기 회복과 국민지원금에 힘입어 올해 3분기(7∼9월) 가계소득이 역대 최대폭으로 늘었지만, 평균소비성향은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소비성향은 가구 소득에서 세금, 연금기여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 가운데 얼마를 상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하는 데 썼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일시적으로는 소득이 늘었지만, 미래 소비 여건까지 확실히 개선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경제주체들이 소비를 자제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1일 통계청의 2021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67.4%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5%포인트 하락했다.
분기별 통계가 발표되지 않은 2017·2018년을 제외하고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6년 1분기 이래 최저치다.
올해 3분기 가계소득(472만9천원)은 통계청이 1인 가구를 포함해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1분기 이후 가장 큰 폭(8.0%)으로 늘었다.
경기 회복의 영향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각각 6.2%, 3.7% 늘고 1인당 25만원의 국민지원금 등 영향으로 이전소득도 25.3%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도 377만3천원으로 1년 전보다 7.2% 늘었지만, 소비지출(254만4천원) 증가율은 4.9%로 그에 못 미쳐 평균소비성향이 하락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소비지출이 늘지 않은 것은 아니다"라면서 "소비지출도 많이 늘었는데 처분가능소득이 그보다 더 많이 늘면서 평균소비성향이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이태열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당장 소비 여력이 생겨도 불확실성이 있으면 미래의 경제 여건을 생각해 소비를 결정한다"며 "소비성향 하락은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측면이 커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소득이 보조되더라도 소비성향이 따라주지 않으면 돈이 잠기게 되기 때문에 내수 회복을 위해서는 소비성향 회복에 좀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7월 '코로나19 이후 소비성향 하락에 대한 논의' 보고서에서도 "소비성향이 하락하면 (보조금이나 지원금) 지원 규모가 실제 소비 증가로 이어지는 정도에 제한이 생겨 마중물 효과가 기대보다 크게 낮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평균소비성향은 국내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해 1분기에 처음으로 60%대로 떨어진 뒤 좀처럼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3분기 기준으로 보면 2019년 72.9%에서 2020년 68.9%, 올해 67.4%로 하락했다. 작년 1분기 이후 평균소비성향이 70%를 상회한 것은 지난 2분기(71.7%)가 유일하다.
국내 카드승인액은 지난 7월 전년 동월 대비 7.9% 늘었고 8월과 9월에도 각각 7.2%, 8.8% 증가했다.
전반적인 소비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평균소비성향은 뒤처져 있는 셈이다.
소득 수준별로 평균소비성향을 보면, 소득이 가장 적은 1분위(하위 20%) 가구(129.4%)의 평균소비성향이 13.4%포인트 내려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이어 2분위(79.4%, -3.2%포인트), 4분위(65.8%, -3.0%포인트), 3분위(70.9%, -2.4%포인트) 순으로 하락 폭이 컸고 소득이 가장 많은 5분위(56.3%)는 오히려 0.2%포인트 증가했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60세 이상(63.6%)에서 평균소비성향이 5.1%포인트 내렸고, 50대(66.7%)는 1.5%포인트 내렸다. 40대(70.8%)는 1년 전과 같았고 30대 이하(68.9%)는 오히려 1.0%포인트 상승했다.
정부가 가계의 축적된 소비 여력을 끌어내기 위해 10월부터 시행한 상생소비지원금의 정책 효과는 4분기 가계동향에 반영될 전망이다.
momen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