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연합시론] 심상찮은 물가상승…서민생활 안정위한 선제대응 절실하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연합시론] 심상찮은 물가상승…서민생활 안정위한 선제대응 절실하다

(서울=연합뉴스)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특히 서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바구니 물가가 큰 폭의 오름세를 나타냈다. 그렇지 않아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고통받는 국민의 삶이 물가 상승으로 더 팍팍해질 수밖에 없어 걱정이다. 통계청이 3일 내놓은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2.6%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약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5월과 같은 수준으로 뛰어오른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에 2.3%로 2%대에 올라선 이후 4개월째 한국은행의 물가관리 목표범위(2%)를 넘고 있는 상황이다. 더 주목되는 것은 국민의 삶과 직결되는 생활물가의 상승이다. 소비자 구매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항목으로 구성되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4% 올라 2017년 8월의 3.5%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달걀(57.0%), 마늘(45.9%), 고춧가루(34.4%) 등이 많이 오른 것을 비롯해 농축수산물은 9.6% 오르며 상승세를 지속했다. 장보기가 겁이 난다는 말이 실감이 난다. 경유(21.9%), 휘발유(19.3%) 등 석유류 가격도 크게 올랐다.

정부는 하반기에 물가가 점차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하반기를 시작하는 첫 달인 7월의 물가상승률이 이처럼 높게 나와 우려의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폭염과 태풍 등 기상 상황과 국제 원자재 가격 등 변수들이 어떻게 작용할지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변동성이 큰 농산물과 석유류 등을 제외한 근원물가도 7월에 1.7% 오르며 3년 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해 물가의 기조적인 상승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이 내달에는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도 있는 만큼 농축수산물 등을 중심으로 수급 상황에 따른 물가의 추가 상승도 우려된다. 코로나19의 4차 대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와 영업규제의 강화로 서민들이 겪는 어려움이 커지는 가운데 물가 상승까지 지속하면 체감하는 고통은 더 클 수밖에 없다. 생활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의 선제적이고 치밀한 대응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물가의 지속적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 우려는 통화당국에 금리 인상이나 긴축정책의 압박으로도 이어져 결과적으로 가계에 부담으로 돌아오게 된다. 한국은행이 조만간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인 가운데 이제 관심은 언제 인상을 단행할 것인지 그 시기에 쏠려 있다. 이르면 8월, 늦어도 10월께 금리 인상을 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15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다음(8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부터는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적절한지 아닌지 논의하고 검토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한 "코로나19가 재확산하고 있지만, 경기 회복세, 물가 오름세 확대,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다음 회의 시부터는 검토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한다"고 말했다. 즉 8월 금통위부터는 금리 인상의 논의만이 아니라 언제든 인상을 단행할 수도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높은 물가상승률의 지속은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기게 할 것으로 보여 그동안 낮은 금리로 많은 대출을 받은 가계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의 물가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주목된다. 미 상무부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밝힌 6월 근원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3.5% 올라 30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물가 지표로 알려진 근원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가 이처럼 오름에 따라 연준이 당장 금리인상은 아니더라도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시기를 앞당길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연준의 정책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우리 입장에서는 안팎으로 더 세심한 대비가 필요한 때가 됐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