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조 가계대출 어쩌나…은행 주담대 금리 많게는 0.9%p 뛰어
작년 7월말 이후…신용대출 금리도 0.6%p↑
"인플레 기대로 금리 상승 속도 빨라지면 이자 부담에 소비 줄 것"
(서울=연합뉴스) 은행팀 = 지난 2월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사상 처음 1천조원을 넘어선 가운데, 은행 대출금리가 지표로 삼는 금융채 등 시장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개별 은행에 따라서는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지난해 7월 저점보다 거의 1%포인트(p) 가까이 뛴 곳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으로 본격적으로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시장금리를 더 빠르게 밀어 올리고,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 방침에 따른 은행의 가산금리 인상(우대금리 축소)까지 더해지면 결국 이자 부담이 한국 경제 회복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우려된다.
◇ 9개월새 은행 신용대출 최저금리 1.99→2.57%
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7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7∼3.62% 수준이다.
이는 '1%대' 신용대출 금리가 등장했던 지난해 7월 말의 1.99∼3.51%와 비교해 하단이 0.58%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이 시점은 같은 해 3∼5월 한국은행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방어 차원에서 두 달 만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1.25→0.50%)나 크게 낮춘 뒤 은행 대출 금리에도 저금리 기조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던 때였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 금리뿐 아니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뚜렷하게 높아졌다.
4대 은행의 7일 현재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2.55∼3.90%다. 역시 작년 7월 말(2.25∼3.96%)보다 최저 금리가 0.3%포인트 올랐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금리 가운데 코픽스가 아닌 은행채 5년물 금리를 따르는 이른바 '혼합형'의 경우 금리 상승 폭이 더 컸다.
혼합형 금리는 지난해 7월 말 2.17∼4.03%에서 현재 2.82∼4.43%로 상단과 하단이 각 0.65%포인트, 0.4%포인트 뛰었다.
개별 A은행의 혼합형 금리만 따로 보면, 이 기간 2.53∼3.54%에서 3.42∼4.43%로 상단과 하단 모두 0.89%포인트나 올랐다.
┌─────────────────────────────────────┐
│ 시중은행 대출 금리 추이 │
│ ※ 4대 은행 자료 취합│
├────────────┬────────────┬───────────┤
││2020년 7월말│2021년 5월 7일│
├────────────┼────────────┼───────────┤
│신용대출 금리 │연 1.99∼3.51% │연 2.57∼3.62%│
│(1등급·1년)││ │
├────────────┼────────────┼───────────┤
│주택담보대출 금리 │연 2.25∼3.96% │연 2.55∼3.90%│
│(코픽스 변동금리) ││ │
├────────────┼────────────┼───────────┤
│주택담보대출 금리 │연 2.17∼4.03% │연 2.82∼4.43%│
│(혼합형.은행채 5년물) ││ │
├────────────┼────────────┼───────────┤
│A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연 2.53∼3.54% │연 3.42∼4.43%│
│(혼합형.은행채 5년물) ││ │
└────────────┴────────────┴───────────┘
◇ 은행채 등 시장금리 오르고…우대금리는 깎고
은행권 대출금리 상승 추세는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3월 기준 예금은행의 전체 가계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2.88%로 2월(2.81%)보다 0.07%포인트(p) 올랐다. 일반신용대출 금리(3.70%)와 주택담보대출 금리(2.73%)는 각 지난해 2월(3.70%) 이후, 2019년 6월(2.74%) 이후 21개월 내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한은은 대출금리 상승에 대해 "은행채 금리 등 가계대출의 지표금리가 오른데다 대출 관리를 위해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축소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신용대출 금리는 은행채 6개월·1년물 등 금융채 단기물 금리를 지표(기준)로 삼는다.
최근 경기 개선, 인플레이션 기대 등의 영향으로 국고채 10년물 등 장기 금리가 꽤 올랐는데, 단기물의 경우도 상승 폭이 장기물만큼은 아니지만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실제로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신용대출 지표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작년 7월 말 0.761%에서 올해 4월 말 0.835%로 0.074%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경우 주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따른다. 코픽스는 쉽게 말해 국내 8개 은행이 대출에 쓰일 자금을 조달하는데 얼마나 많은 비용(금리)을 들였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된다.
은행권이 4월에 적용한 코픽스(3월 기준)는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0.84%로, 작년 7월의 0.81%보다 0.03%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 금리는 은행채 5년물 금리를 지표로 따르는 경우가 많은데,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작년 7월 말 1.277%에서 올해 4월말 1.841%로 0.564%포인트나 뛰었다.
은행들이 수신(예금) 금리 인하 등으로 조달 비용을 낮추고 예금 유치 경쟁 상황에 따라 금리를 의도적으로 낮춘 부분 등까지 반영된 코픽스 변동금리 상승 폭보다 은행채 시장금리 추세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혼합형 금리 상승 폭이 더 크게 나타나는 이유다.
이런 대출 지표금리 오름세뿐 아니라 정책 규제도 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
신용대출 금리는 기준(지표)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정해지는데, 거래실적 등을 반영한 우대금리를 많이 받을수록 가산금리는 낮아진다.
그러나 작년 10월 이후 금융당국이 본격적으로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은행들은 우대금리 폭을 0.5%포인트 이상 잇따라 크게 깎았다.
◇ 신규·기존 대출자 모두 타격…"인플레 기대심리로 금리 상승속도 빨라질 듯"
이처럼 은행 대출 금리가 오르면 신규 대출자 뿐 아니라 이미 대출을 받은 기존 차주(돈 빌린 사람)의 부담도 커진다.
가계대출자의 60∼70%가 변동금리를 적용받는 것으로 추정되는데다, 신용대출의 경우 약정에 따라 3개월, 6개월 단위로 현시점의 기준금리를 적용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런 대출 금리 상승 속도가 앞으로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유가·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소비자·생산자 물가가 뛰면서 채권 등 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커지고 있다.
한은 '소비자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4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1%로 이미 2%를 넘어선 상태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값에 해당한다. 물가와 자산가격 거품을 잡기 위해 미국과 한국 등 주요 국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다가올 수록 시장금리와 대출금리 상승은 불가피한 흐름"이라며 "여기에 최근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 방안까지 발표되면서 대출 수요는 여전히 많은데 대출 공급이 억제되면 자연스럽게 금리는 더 올라갈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사상 유례없는 1천조원대 가계대출의 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어나면, 결국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그만큼 경기 회복 속도도 더뎌질 수 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