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R&D 고도화 추진…기술자립·미래 공급망 창출 꾀한다
고가 연구용 특수장비 신속구매절차 도입…소부장기업 R&D 평가기준 완화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글로벌 공급망(GVC)이 재편되는 상황에 대비해 소재·부품·장비 부문 기술 자립 R&D 고도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가 14일 내놓은 '소부장 연구개발(R&D) 고도화 방안'은 소부장 R&D 투자 전략을 다각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난 7월 발표한 '소부장 2.0 전략'이 일본 수출규제 대비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이번 대책은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에 대응해 미래 공급망을 선점하기 위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대(對)일본에서 대(對)세계로 관리 대상을 넓히고 현재 공급망을 안정화하면서 동시에 미래 공급망을 창출하는 '투트랙' R&D 전략을 추진한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공급망 관리 정책 대상 핵심품목 85개를 추가하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자동차, 기계·금속 등 5대 주력산업 분야와 미래·소재, 바이오, 그린에너지, 비대면·디지털 등 R&D 핵심품목 총 9대 분야를 선정한다.
또 산·학·연·관 태스크포스(TF)를 연내 구성하고, 핵심품목 9대 분야와 연계해 향후 5년 뒤 미래선도품목 등 신산업 창출을 위한 R&D를 진행한다.
소부장 R&D 성과 창출에 속도를 내기 위해 ▲ 신속·유연한 연구 환경 조성 ▲ 소부장 전주기 R&D ▲ 공급기업 R&D 부문 등 지원을 확대한다.
고가 연구용 특수 장비에 대해서는 연구 장비 신속 구매 절차(패스트트랙)를 도입하고 소부장 기업이 정부 R&D에 참여할 때 참여·평가기준을 완화해준다.
출연연 사업을 중심으로 장기 연구와 기술 축적을 위한 '오래달리기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기존 '소재 단독 개발'에서 나아가 '소재·공정·시스템'을 패키지로 개발하는 산학연 융합 연구단도 구성한다.
기존 3개인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를 5개까지 늘리고 유럽과 신남방 지역 국가 등과도 소부장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경남 창원시에 연구 시험평가·시범생산·품질인증 등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한 '첨단소재 실증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아울러 정부는 '소부장 기술특별위원회' 및 '특정평가'를 통해 소부장 R&D 진행상황과 성과를 지속 점검할 계획이다.
jung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