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디커플링, 중국의 독자적 금융·기술시스템 구축 가능성"
키신저미중硏 소장…"중, 디커플링 환영않지만 물러서지 않을것"
"미 압박, 레토릭 이상…최소 부분적인 디커플링 실질적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을 향해 압박하고 있는 이른바 '디커플링'(decoupling)이 중국의 독자적인 금융·기술 시스템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경제 등에서 분리하는 디커플링, 즉 탈동조화를 압박하고 있지만 이것이 중국의 독자적 공간 확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미 우드로윌슨센터 산하 키신저미중연구소의 로버트 댈리 소장은 9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 방송에 출연해 디커플링에 대해 "중국이 채무상환이나 무역 대금 결제 등과 관련해 별도의 금융 시스템을 구축할 실질적인 위험이 있다"면서 "중국이 별도의 기술 시스템을 개발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중간 디커플링에 따른 비용이 크지만 "이것이 중국이 나머지 세계로부터 상호 배타적인 시스템 구축을 선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댈리 소장은 중국은 디커플링에 따른 비용이 중국 자신은 물론 미국, 전 세계에 매우 크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지만 디커플링은 일어날 수 있다면서 "중국이 디커플링을 환영하지는 않지만 그것에 직면해서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댈리 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극단적 위협을 해왔고 대개는 그 결과에 대한 검토 후에 물러섰다면서도 트럼프 행정부의 디커플링 위협은 "단지 선거용 레토릭(수사) 이상"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최소한 일부 경제적 섹터에서의 부분적인 디커플링에 대한 매우 실질적 가능성이 있다. 미 국민은 보다 자립적이고 확실히 중국에 얽매이지 않기를 희망하고 있다"면서 "그런 열망은 실질적이고 지속적이며, 바이든 전 부통령이 당선되더라도 그것은 어떤 형태로든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미국 내에 "특히 희토류나 기술 및 의료·제약 장비 등의 분야에서 중국과 너무 밀접하게 연계되는 것에 대한 깊은 불신이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미국을 전 세계 제조업의 초강대국으로 만들 것이라며 중국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물론 디커플링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6월에도 "중국과 모든 관계를 끊을 수도 있다", "미국은 중국으로부터 완전한 디커플링을 다양한 조건하에서 정책적 선택지로 확실히 유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압박을 오는 11월 대선의 주요 어젠다 가운데 하나로 활용하고 있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도 지난 6월 공정한 경쟁이 되지 않으면 중국과의 '디커플링'을 보게 될 것이라고 밝혔었다.
그러나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지난달 25일 미국이 중국과의 디커플링을 시도하는 것은 부메랑으로 돌아가 실패할 것이라면서 "가능하지도 않고 합리적이지도 않다. 어디로도 통하지 않는 막다른 길"이라고 비판했다.
lkw777@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