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아닌 '인 코로나' 시대…2차 대유행 대비"
"상설적 감염병 진료체계 어떻게 구축할지 논의 필요"
대한병원협회 '포스트 코로나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콘퍼런스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6일 '생활 속 거리두기' 체제 시행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모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의료계에서는 아직은 '인 코로나'(In corona) 상황이므로 경계를 늦춰선 안 된다고 진단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지속하는 데다 국내에서도 올해 가을과 겨울에 2차 대유행이 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대한병원협회가 이날 '감염병 시대의 뉴노멀: 포스트 코로나,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주제로 개최한 온라인 콘퍼런스에서 전문가들은 "코로나19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금은 포스트 코로나가 아니고 인 코로나 상황"이라며 "전 세계에서 올가을과 겨울에 대유행이 다시 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으므로 우리도 '비상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 Contingency Plan)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항체 여부를 확인하는 혈청검사를 통해 정확한 감염 규모를 파악하는 게 급선무라고 봤다. 증상이나 해외여행 이력 등이 없어 진단검사조차 받지 않은 숨겨진 감염자를 찾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실시간 유전자 증폭(RT-PCR) 방식으로는 지역사회에 숨겨진 감염자를 찾는 데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다.
김 교수는 "혈청검사로 실제 감염자 규모를 파악해야 한다"며 "그래야만 나중에 재유행했을 때의 대응 전략을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감염자 규모를 파악하면 코로나19 치명률과 무증상 감염자 비율 등을 알 수 있게 돼 질병이 사회에 미치는 부담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항체 조사를 통해 기존에 알고 있던 규모보다 훨씬 많은 감염자가 확인된다면 치명률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김 교수는 "가장 두려운 건 백신과 집단면역이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가을 또는 겨울에 대규모 유행이 벌어져 의료체계가 붕괴하는 상황"이라며 "정부와 의료계는 코로나19 최대 발생을 대비한 역량을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정부는 코로나19 유행은 조만간 끝나지 않을 것이며 우리 국민은 다음 2년간 주기적인 유행의 반복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재유행, 새로운 신종 감염병의 유행 등에 대비하기 위해 병원의 구조 자체를 재편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응급실의 선별진료소, 외래진료에서의 별도 호흡기 센터 등을 상설화해 감염병에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왕준 명지병원 이사장은 "단기적으로 코로나19의 2차 대유행을 준비하는 걸 넘어 상설 감염병 진료 체계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병원의 모든 구조와 프로세스를 감염병 존(Zone)과 비감염병 존으로 구분한 듀얼 트랙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