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15.78

  • 6.12
  • 0.24%
코스닥

717.89

  • 5.63
  • 0.78%
1/5

"2015년 이후 저출산 심화는 결혼기피에서 비롯"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2015년 이후 저출산 심화는 결혼기피에서 비롯"
보험硏 "다자녀 기피와 가임기 여성 감소는 꾸준히 영향"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2000년대 저출산은 다자녀 기피와 가임기 여성 인구의 감소가 주된 요인이었으나 최근 급속하게 진행되는 출생아 수 감소는 결혼 기피 영향이 큰 것이라고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태열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2일 'KIRI 고령화 리뷰'에 게재된 '결혼, 출산, 다자녀 기피 현상이 출생아 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 출산 과정을 '가임기 여성→결혼→첫째 아이 출산→둘째 이상 아이 출산'이라는 틀로 보고 저출산이 어떤 요인에 주도되는지를 분석했다.
즉, 그는 가임기 여성 인구 증가율, 결혼 횟수/가임기 여성 인구, 첫째 아이 출생 수/결혼 횟수, 둘째 이상 아이 출생 수/첫째 아이 출생 수를 '출산 이행 단계 지표'라고 칭하고 각 요인이 출생아 수 변화에 미친 기여도를 산출했다.

그 결과 분석 대상 기간인 2002∼2018년 꾸준히 저출산을 주도한 요인은 다자녀 기피(첫째 아이 출산 대비 둘째 이상 아이 출산 감소)와 가임기 여성 인구의 감소였다.
다자녀 기피는 출산율이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2002∼2015년 연평균 1만1천명, 저출산이 극심해진 2015∼2018년엔 연평균 9천500명 이상의 출생아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가임기 여성 인구 감소는 2002∼2015년엔 연평균 7천600명, 2015∼2018년엔 연평균 8천400명의 출생아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결혼 요인은 2002∼2015년엔 연평균 1만6천명 이상 출생아 증가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다가 2015∼2018년엔 1만1천600명가량 출생아 감소에 기여했다.
이 두 기간 사이 전체 출생아 수의 감소 규모가 연평균 4천400명에서 3만7천200명으로 약 3만3천명 확대된 것을 감안할 때 이 변화폭의 대부분인 2만8천명이 결혼 기피(가임기 여성 인구 대비 결혼 건수 감소)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판단됐다.
이태열 선임연구위원은 출산 기피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자녀 부양에 대한 기존의 대책을 재점검하고 보다 강도 높은 지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결혼 문제는 가정이라는 공감대 속에 결합한 부부의 출산 문제보다 매우 복잡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주거, 일자리 등 다방면의 개선 방안이 강구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2015년 이후에 심각해진 결혼 기피 현상이 이 기간의 주택 가격 상승이 원인인지 아니면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양성 갈등 분위기 때문인지 쉽게 판단하기 어렵다"며 "특히 결혼 기피가 여성에게서 더 심각한지 남성에게서 더 심각한지 등 그 원인에 대한 다방면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pseudoj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