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고용률 23년 만에 최고…단시간 근로자·노년층 취업자↑(종합2보)
홍남기 "공고한 회복흐름에 힘입어 올해 취업자 증가 20만명 크게 웃돌 것"
제조업·40대 취업자 감소 지속
40대 고용률 하락 22개월째 외환위기 여파 이래 최장
(세종=연합뉴스) 김연정 김경윤 기자 = 지난달 취업자가 33만명 이상 늘면서 넉 달 연속 30만명대 증가세를 이어갔다. 고용률도 23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다만 일주일에 17시간 이하 근무하는 단시간 근로자와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시장의 '허리'로 분류되는 40대의 고용률은 약 10년 만에 최대폭 하락한 데다가 하락세도 20년 만에 최장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19년 11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751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33만1천명 증가했다.
이로써 취업자 증가폭은 8월(45만2천명), 9월(34만8천명), 10월(41만9천명)에 이어 넉 달 연속 30만명대 이상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이어갔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만5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8만2천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8만2천명) 등에서 주로 늘었다.
반면 도·소매업(-8만8천명), 건설업(-7만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3만6천명) 등에서는 줄었다.
제조업(-2만6천명)은 20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다만 감소폭이 2만명대로 줄어들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가 59만3천명 증가했으나 일용근로자는 11만1천명, 임시근로자는 5만4천명 각각 감소했다. 일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 모두 감소폭이 전월보다 확대됐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14만8천명 증가했지만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9만6천명 줄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4만9천명 감소했다.
취업시간대별로는 주당 1∼17시간 취업자 수가 38만6천명 증가하면서 2011년 9월(134만6천명)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당시에 2011년 9월은 추석 연휴로 일주일에 일할 수 있는 기간이 3일에 그친데 따른 특수 요인이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1982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다.
반면 36시간 이상 취업자 수는 28만9천명 줄어들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도 40.8시간으로 1년 전보다 0.9시간 줄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동향과장은 "(1∼17시간 취업자에는) 임시직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구조적으로 노인 일자리가 포함될 수 있다"며 "산업별로 보면 노인일자리가 주로 가는 공공행정이나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아르바이트하는 학생, 시간제 강사 등이 있는 숙박음식업이나 교육서비스업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연령계층별로는 60대 이상(40만8천명), 20대(7만명), 50대(6만5천명)에서 늘어났다. 반면 40대(-17만9천명)와 30대(-2만6천명)는 줄었다.
60대 이상 취업자 수는 전월(41만7천명)에 이어 두 달 연속 40만명대 증가를 보였다. 1982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60대 이상 취업자 수가 40만명 이상 늘어난 것은 올해 10월과 11월이 유일하다.
30대와 40대 취업자 수는 24개월 연속 동반 감소했다.
30대는 인구감소를 고려한 고용률이 0.8%포인트 상승한 76.6%였지만, 40대의 경우는 인구증감을 고려하더라도 취업자 감소세가 더 빠른 상황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1.7%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올랐다. 11월 기준으로 1996년(61.7%) 이후 최고다.
고용률은 올해 들어 1월(-0.3%포인트)과 4월(-0.1%포인트)을 빼고 모든 달에서 1년 전보다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7.4%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1989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동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연령계층별로는 40대 고용률(-1.1%포인트)이 유일하게 하락했으며, 전년 대비 22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40대 고용률 하락폭은 2009년 12월(-1.1%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하락세는 2018년 2월부터 22개월 연속 이어져 외환위기 여파가 미쳤던 1997년 5월∼1999년 5월(25개월) 이후 최장을 기록했다.
청년층 고용률(15~29세)은 44.3%로 1.1%포인트 올랐다.
지난달 실업자는 86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4만3천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3.1%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청년 실업률은 7.0%로 0.9%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달 기준 2012년(6.7%) 이후 가장 낮았다.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0.5%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내렸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5만3천명 증가한 1천624만5천명이었다.
활동상태별로 보면 쉬었음(31만4천명) 등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으나, 가사(-13만6천명), 재학·수강 등(-13만3천명)에서는 감소했다.
취업 준비자는 73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3만5천명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48만7천명으로 4만8천명 줄었다.
정 과장은 "11월에는 도소매업과 제조업에서 취업자 수가 감소했지만, 제조업 감소폭이 2만명대로 크게 줄어든 데다 상용직 근로자가 증가해 고용 지속성 면에서 긍정적인 사인을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고용회복 흐름이 공고하게 자리매김했다고 평가했다.
홍 부총리는 "8월부터 시작된 취업자 수, 고용률, 실업률 등 3대 고용지표의 뚜렷한 개선세가 11월에도 계속됐다"며 "고용률은 15세 이상과 15∼64세에서 각각 0.3%포인트 오르면서 모두 해당 통계 발표 이래 11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간 지속해서 감소하던 제조업 취업자의 감소 폭이 크게 축소됐다"며 "청년 고용률은 2005년 이후 최고, 청년 실업률은 201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개선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런 고용시장의 공고한 회복 흐름에 힘입어 올해 취업자 증가는 애초 전망했던 20만명을 크게 웃돌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heev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