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42.51

  • 24.67
  • 1.02%
코스닥

675.92

  • 14.33
  • 2.17%
1/4

대덕전파망원경 '별 생성 영역' 고해상도 관측 첫 성공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대덕전파망원경 '별 생성 영역' 고해상도 관측 첫 성공
대전 유성구 한국천문연구원에 자리…분해능력 10배 개선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이 우리 은하 내 무거운 별 생성 영역인 'CTB 102' 고해상도 영상 관측에 처음 성공했다.
13일 천문연에 따르면 연구진은 대전 유성구 대덕전파천문대 13.7m 전파 망원경으로 CTB 102 전리 수소 영역을 확인했다.
전리 수소 영역은 이온화한 수소 기체로 이뤄진 곳이다. 별 생성 영역으로도 알려졌다.
무거운 별 주변에 존재하는데, 은하의 물리·화학적 진화와 연관성이 높아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해당 영역은 먼지와 가스로 가득한 분자운 뒤에 있는 탓에 성간 소광을 일으킨다.
성간 소광은 빛을 흡수하거나 산란해 별을 실제보다 더 어둡게 보이도록 만드는 현상이다.
자세히 들여다볼 수 없다는 뜻이다.


천문연 연구진은 2015년 수신기 성능을 개선한 대덕전파 망원경을 이용해 한계를 극복했다.
기존 낮은 주파수로 관측한 영상보다 10배가량 해상도 높은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CTB 102영역 물리적 구조와 그 속에서 생성되는 어린 별 특성 등을 알아냈다고 설명했다.
고해상도 일산화탄소 관측 결과에 따르면 CTB 102는 가로지르는 크기가 180광년 정도다.
무게는 태양의 약 10만배다.
아울러 연구진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와이즈 적외선 망원경을 이용한 어린 별 등급 분류 방법을 통해 해당 영역 어린 별 등급을 나눴다.
그 결과 이 지역이 전체적으로는 은하 전반 별 생성률인 5∼10%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일부 특정 지역에서 17∼37%의 높은 별 생성률을 보인다는 통계적 사실을 확인했다.


강성주 천문연 박사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파 망원경을 통해 해당 별 생성 영역 고해상도 이미지를 처음으로 살피고, 이를 통해 별 생성률 특성을 알아냈다"며 "대덕전파 망원경을 활용해 새로 태어나는 별이 특정 지역에 모여 있는 이유에 대해 후속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천체물리학 저널'(Astrophysical Journal) 1일 자에 실렸다.
대덕전파천문대는 한국천문연구원이 1986년부터 운용 중이다.
국내 관측 연구 범위를 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서 밀리미터파 전파 영역으로 확대하는 계기가 됐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