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2

울산시의원 "공무원 헌혈 확산 위해 공가 제도 활성화해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울산시의원 "공무원 헌혈 확산 위해 공가 제도 활성화해야"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울산시의원 "공무원 헌혈 확산 위해 공가 제도 활성화해야"
"울산 실적 해마다 감소…타 지자체 참여도는 10배 높아"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 서휘웅 울산시의원은 공직사회 헌혈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공가 제도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 의원은 15일 "헌혈 수급 방법으로 공익을 위한 공가 제도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울산시에 요구했다.
공가는 공익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휴가 일종이다. 주로 건강검진이나 예비군·민방위 훈련, 헌혈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서 의원은 "울산시는 지방공무원 복무규정과 울산시 헌혈 권장 조례가 있지만, 헌혈 후 공가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업무 공백이나 헌혈을 위한 공가 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가 제도가 이미 활성화된 다른 자치단체는 울산시 헌혈 참여 실적보다 10배가 많다"며 "자발적인 공무원 헌혈 참여가 활성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 의원은 "울산 인구가 줄고 있고, 혈액 수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공가 제도를 잘 활용해 공무원들이 앞장서 헌혈문화 확산에 나선다면 산하 공공기관과 일반 기업에도 공가 제도를 권하기 용이하고, 혈액 수급을 안정화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울산지역 연도별 헌혈 실적을 보면 2015년 9만3천740명, 2016년 8만7천323명, 2017년 8만6천261명, 2018년 8만5천명(추정) 등으로 매년 줄었다.
헌혈을 위해 공가를 사용한 울산시 공무원 수는 2017년 18명, 2018년 13명에 불과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앞으로 공문 발송이나 게시판 게시 등을 통해 직원들에게 공가 제도를 알리고 사용을 권장해 헌혈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you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