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자동화 사업 속도 낸다…"2025년까지 기반 마련"
해수부 '스마트 해상물류 체계 구축전략' 발표
초대형 컨테이너선 하역시간 40시간→25시간 '단축'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정부가 세계적인 항만 자동화 추세에 맞춰 국내 항만에 2025년까지 자동화 기반을 갖추고, 2030년에는 스마트 해상물류 체계를 완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에 따라 초대형 컨테이너선 하역시간이 현재 40시간에서 2025년 24시간으로 줄어 연간 1천200억원 이상의 경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항만 자동화로 인한 산업재해 등 안전사고 감소와 함께 연관 사업 발달에 따른 약 300개의 신생기업 창출 효과도 기대했다.
자동화로 인해 우려되는 실업 문제에는 정부가 직종 전환, 직무 확대 등을 지원하는 일자리 대책을 마련해 대응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8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스마트 해상물류 체계 구축전략'을 발표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미 네덜란드 등 유럽 선진국과 중국, 일본 등은 스마트 항만, 자율운항 선박 등을 기반으로 한 해상물류의 스마트화를 국가전략으로 추진하면서 성과를 내고 있다"며 "우리도 스마트 항만 선도대열에 합류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펴기로 했다"고 말했다.
먼저 항만과 선박의 자동화·지능화가 추진된다.
항만에서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운송하고 반·출입하기 위한 대용량·초고속 자동 하역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광양항에 테스트베드(시험장)를 만들어 2022년까지 운영하며 사업성을 타진한다.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주요 항만물류 인프라 기술 개발을 2021년까지 진행하고, 자율운항 선박 및 시스템 개발을 2023년 진행한 뒤 2025년까지 현장검증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화물의 위치, 온도·습도, 개폐 상태 등 각종 정보를 IoT 기술로 공유할 수 있는 스마트 컨테이너 개발과 국제 표준화에도 나선다.
이를 바탕으로 항만과 선박, 항만 내에서 선적·하역 작업이 가장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자동차 수출입 하역작업에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 인력·시간을 절약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항만에서 100㎞ 거리에 있는 먼바다에서도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선박에 보급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지원한다.
스마트 항만 기술 개발을 위한 인재 양성과 사업화에도 주력한다.
2023년까지 한국벤처투자가 운영하는 1천300억원 규모의 해양 모태펀드를 조성, 관련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아울러 항만 자동화에 따른 일자리 문제는 항운노조 등 이해 관계자와 충분한 논의와 공론화 과정을 거쳐 노사정이 모두 공감하는 일자리 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시스템 모니터링, IT 및 장비 유지관리 분야 등으로 직종 전환이나 직무 확대 등 기존 근로자의 일자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준비한다.
항만 자동화 시범사업과 현장 실증도 병행한다.
신규 항만인 광양항에서는 컨테이너 자동하역 설비 및 자동운송 설비를 현장에서 실험하고, 부산항과 인천항에서는 터미널 간 화물 운송정보 처리기술 등을 중점적으로 테스트한다.
울산항에는 항만물류 혁신성장 지원센터를 설립, 항만물류 관련 데이터와 관련 해외정보를 수집·분석하는 전문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한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번 전략을 통해 설정한 세부 과제를 모두 차질없이 달성해 해상물류 및 연관 산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글로벌 스마트 해상물류 선도 기반을 조성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