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성장의 그늘…제조업 출하액 '껑충', 고용은 감소
작년 광업·제조업 부가가치 8.1%↑, 6년 만에 최대 증가
고용은 2009년 후 첫 감소…조선·자동차 부진 뚜렷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지난해 광업·제조업 부가가치가 큰 폭으로 늘었지만, 고용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은 반도체가 성장을 주도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주력 제조업으로 꼽혔던 조선·자동차는 업황 부진이 계속되면서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부가가치가 모두 동반 감소하고 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광업·제조업 조사 잠정결과'를 보면 지난해 광업·제조업 출하액과 부가가치는 각각 1천516조4천억원, 547조7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00조원(7.0%), 41조원(8.1%) 늘었다.
출하액과 부가가치 모두 2011년 각각 12.4%, 10.3% 늘어난 이후 6년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출하액 호조세는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14.6%)가 이끌었다. 석유정제(26.6%), 기계·장비(19.0%) 등도 증가 폭이 컸다.
반면 조선(-24.7%), 자동차(-1.8%) 등 주력산업의 출하액 부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자동차는 2016년부터 2년째 사업체 수와 출하액, 부가가치가 모두 줄고 있다.
2012년부터 출하액이 줄기 시작한 조선은 2015년 사업체 수가, 2016년부터는 종사자 수까지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종사자 10인 이상 사업체 수는 1년 전보다 1.0%(664개) 늘어난 6만9천790개였다. 전자(-4.8%), 조선(-10.6%) 등이 줄고 기계·장비(4.0%) 등이 늘었다.
고용은 전년보다 1천여명(0.0%) 줄어든 296만8천명을 기록,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0.1%) 이후 처음 감소세로 전환했다.
출하액 호조세를 이끈 반도체 산업이 조선·자동차 등 다른 산업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고용 유발효과가 낮기 때문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종사자 수를 산업별로 보면 조선(-13.0%), 섬유(-5.8%), 의복·모피(-7.7%) 등에서 감소 폭이 컸다.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 분야도 종사자 수가 0.4% 감소했다.
반도체 호조로 종사자 수가 늘긴 했지만, 증가 폭이 가전 등 다른 분야의 일자리 감소 폭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기계·장비(6.1%), 식료품(2.8%) 등은 종사자 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석유정제·반도체 중심으로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조선·자동차 등은 부진이 계속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