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이란제재로 올해 국제유가 배럴당 100달러 될 수도"(종합)
이란공급 불확실성에 무역전쟁·나프타 개정협상 리스크까지
트럼프, OPEC·러에 유가인하 압박…사우디 '비공식 증산' 계획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이란산 원유에 대한 미국의 11월 제재 복원을 앞두고 국제유가가 급등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미국 CNBC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의 원유수출을 봉쇄하겠다는 제재 계획을 견지해 전 세계 원유 공급량이 급격히 줄 것으로 전문가들을 예상했다.
특히 세계 공급량을 좌우하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를 비롯한 산유국들이 지난주 알제리에서 열린 회의에서 증산 입장을 밝히지 않아 고유가 전망이 힘을 얻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의를 앞두고 OPEC와 러시아에 유가를 낮추라고 직설적으로 촉구했으나 산유국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영국의 원유 중개회사인 PVM 오일어소시에이츠의 애널리스트 타마스 바가는 올해 브렌트유 가격이 배럴당 100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이날 보고서를 통해 전망했다.
그는 "OPEC을 비롯한 25개 산유국이 이란의 공급량 감소를 메우기 위해 생산량을 늘리겠다고 분명히 밝히지 않았기 때문에 올해 4분기 원유의 공급이 빠듯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회사인 JP모건체이스도 지난 주 보고서에서 유가가 올해 배럴당 9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예상한 바 있다.
JP모건체이스는 유가 상승 원인으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북미자유무역협정(나프타) 개정협상, 이란의 공급량 추산이 틀릴 가능성 등 지정학적 리스크를 거론했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석유 전문가인 프랭크 베라스트로는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에서 "이란제재 타격이 애초 예상보다 일찍 강력하게 닥친다"고 관측했다.
국제유가는 이날도 미국의 대이란제재를 둘러싼 우려와 맞물려 상승세를 지속했다.
런던 선물거래소(ICE)의 11월물 브렌트유는 38센트 오른 배럴당 81.72달러,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11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55센트 오른 72.12달러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이란은 OPEC에서 원유 생산량이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에 이어 세 번째다.
이란은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는 대가로 경제제재에서 벗어나는 내용을 골자로 한 핵 합의를 미국 등 주요 6개국과 체결했다. 그러나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단독으로 이란 핵 합의에서 탈퇴하고 제재를 복원했다.
이란산 원유에 대한 제재는 오는 11월 4일 발효하는데 그에 따라 공급량이 얼마나 감소할지 불확실하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제재와 동시에 하루 50만 배럴이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몇 달 동안 하루 200만 배럴까지 이란산 원유가 줄 것으로 보는 애널리스트들도 있다.
이란은 생산량이 정점에 이른 올해 여름에 하루 270만 배럴에 달하는 원유를 수출했다. 이는 세계의 하루 석유 소비량인 1억 배럴 정도의 3%를 차지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동맹이자 이란의 앙숙으로서 제재를 지지하는 사우디가 증산을 계획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CNBC는 사우디가 이란 공급량 감소를 상쇄하려고 앞으로 2개월 동안 하루 55만 배럴을 시장에 더 내놓을 수 있다며 공급 규모는 수요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WP는 사우디의 증산은 OPEC 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는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과 원유를 거래하는 제3국 업체들도 제재하겠다며 원유 수입국에 압력을 넣고 있다.
이와 동시에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물가를 단속, 표밭을 다지는 차원에서 다른 산유국들의 증산을 촉구하고 있다.
미국 오일앤드가스저널의 편집자인 밥 티피는 "사우디,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등 OPEC의 주요 산유국이 대놓고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티피는 산유국들이 배럴당 75∼80달러를 수요 위축 없이 이익을 낼 수 있는 가격대로 본다면서 현재 증산을 머뭇거리는 사유를 설명했다.
RBC캐피털마켓의 원자재 전략가인 마이클 트랜은 "OPEC이 결국 공급감소를 완화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향후 몇 달간 원유시장을 지배하는 화두는 유휴생산능력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jangj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