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12.43

  • 29.16
  • 1.13%
코스닥

740.48

  • 13.07
  • 1.80%
1/3

추락하는 부산 전통제조업 스마트공장서 돌파구 모색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추락하는 부산 전통제조업 스마트공장서 돌파구 모색
2030년까지 1천500개사 지원…전문인력 1천700명 양성

(부산=연합뉴스) 박창수 기자 = 부산은 1970년대 국내 제조업의 약 30%가 집적해 있었지만 2016년에는 지역 총생산 순위에서 전국 6위로 떨어지며 부진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같은 기간 전국 대비 수출 비중 역시 29%에서 2.9%로 추락했다.
고령화, 열악한 근로환경, 기반시설 노후, 근로자 유입 감소 등이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면서 경쟁력을 잃고 있다.

조선 기자재와 자동차부품, 신발·의복 등이 주력 제조업인데 대부분 단순·복합 부품생산 위주의 노동집약적 생산구조여서 제조업 침체의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최근에는 인건비 상승 압력에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부산시가 정부 정책과 연계한 스마트공장 확산으로 전통제조업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정부는 지난해 1천108억 원을 들여 중소·중견기업 2천200곳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이 가운데 부산지역 업체도 238개사가 포함돼 스마트공장으로 전환하거나 전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의 '스마트 제조혁신 비전 2025'에 따라 스마트공장 보급 목표를 2025년까지 3만 개로 정했는데 부산시는 이 정책과 연계해 2030년까지 1천500개사를 지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한 기반 마련을 위해 2022년까지 1천7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로 했다.
스마트제조 혁신 거점을 구축하고 산학연 협의체를 구성해 스마트공장의 성공사례를 공유해 인식을 개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민간 업체의 비용 부담률이 50%에 달하고 지원금 역시 최대 5천만 원에 불과한 것은 스마트공장 확산의 한계로 지적된다.

지원기관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고 지역 대표 스마트공장 모델이 없는 것도 제조업체의 참여를 끌어내는 데 어려운 요소로 꼽힌다.
이런 지적에 따라 시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신발, 기계·자동차, 조선 기자재 등 주력산업별 대표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한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분야별 시범공장 10곳을 구축해 스마트공장 보급과 고도화에 나서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면 생산성이 30% 상승하고 불량률은 4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어려움을 겪는 부산지역 전통제조업에 디지털 생산방식 도입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pc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