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신흥국 통화위기, 美연준 금리인상 가도에 돌발 변수될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신흥국 통화위기, 美연준 금리인상 가도에 돌발 변수될까
내달 13일 인상엔 영향 없을 듯…올해 남은 인상 횟수가 문제
신흥국 경제여건 과거보다 건실해 위기확산 제한적일 듯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신유리 기자 = 아르헨티나, 터키 등의 신흥국에서 화폐 가치 급락, 인플레이션 폭등 등 통화위기 조짐이 나타나면서 올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경로에 변화가 생길지 관심이 쏠린다.
신흥국 경제가 이미 위태로운 상황에 처한 가운데 다음 달 연준이 금리를 추가로 올리면 달러 강세와 금리 급등으로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빠지는 신흥국이 늘어날 것이란 위기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의 국내 경기 상황이 워낙 좋기 때문에 일단 연준의 다음 달 금리 인상엔 지장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신흥국 위기 상황이 지속된다면 내달 이후 연말까지 남은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엔 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15일 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다음 달 13일(이하 현지시간)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할 확률을 100%(지난 14일 기준)로 내다봤다.
기준금리 인상 확률은 지난달 말 88% 선을 보이다가 지난 2일 연준이 발표한 성명에서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자신감을 드러내면서 100%로 상승했다.
하지만 연준 안팎에서는 지난달 중순께 불거진 '신흥국 변수'를 의식한 듯한 발언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연준의 금리 인상 등 통화 정책 방향에는 국내 경제여건과 경기 흐름이 최우선 고려 요인이지만 이로 인해 신흥국에서 '긴축 발작'의 충격이 커지는 등 위기가 고조된다면 이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8일 스위스 연설에서 "글로벌 요인들이 대내적인 금융 여건에 큰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미국 통화 정책의 영향은 종종 과장된다"면서 선 긋기 발언을 내놨다.
연준의 금리 인상 때문에 신흥국 통화 가치가 더 떨어지고, 자금이 대거 이탈하는 '머니 무브'가 본격화할 수 있다는 시각에 반대 입장을 밝힌 것이다. 동시에 시장의 이런 민감한 반응 때문에 통화 정책에 어려움이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그러나 이런 발언에도 신흥국 불씨는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이머징마켓포트폴리오리서치(EPFR)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9일까지 1주일간 세계 신흥시장 채권 펀드에서는 21억 달러(약 2조2천억 원)가 빠져나가 3주 연속 순 유출을 기록했다.
주간 유출 규모는 지난 2월 이래 최대였으며 3주간 순 유출 규모는 모두 40억 달러를 넘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의 이든 해리스는 "미국이 재채기하면 나머지 국가들은 감기에 걸린다는 속담과 비슷하다"고 블룸버그 통신에 말했다.
이 때문에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거나 최소한 시장의 예상보다 인상 속도를 높이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올해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횟수는 3번이라는 전망이 다수설이었지만 미국 경기가 호조를 보이면서 4번도 가능하다는 전망이 확산해왔다.
하지만 HSBC증권의 케빈 로건은 연준이 내년 3월까지 금리 인상을 세 차례 올려 2.25∼2.5%에서 멈출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금리가 2.25∼2.75% 범위에 이르면 추가 인상을 멈춰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신흥국 경제여건이 과거보다는 좋아졌다는 점에서 통화위기가 우려만큼 확산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영국 경제지 이코노미스트는 국제금융협회(IIF) 통계를 인용해 "아르헨티나의 정부 및 회사 부채 중 64%는 달러를 포함한 외국 통화로 표시된 채권"이라며 "반면 터키는 56%, 태국 17%, 브라질은 16%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들 신흥국은 대출 이자가 지나치게 높게 치솟으면 국내 금리를 완화할 수 있다"면서 "이들 신흥시장에는 정책 여력이 더 많아졌다"고 진단했다.



newglas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