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학생들, 수학·과학 성적 높지만 흥미도는 낮아"
한경연 보고서…"4차 산업혁명 시대, 주입식·암기식 교육 벗어나야"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과학 성적은 높지만 흥미도는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3일 '제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한국인의 역량과 교육개혁'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시행하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학생의 과학 성적은 일본, 에스토니아, 핀란드, 캐나다에 이어 OECD 35개 국가 중 다섯 번째로 높았지만 흥미도는 26위로 OECD 평균값을 한참 밑도는 수준이었다.
반면 OECD 국가 중 우리와 과학 성적이 비슷한 캐나다(성적 4위, 흥미도 3위)와 뉴질랜드(성적 6위, 흥미도 12위)의 경우 흥미도 역시 OECD 평균값 이상으로 우리보다 높았다.
또 멕시코는 OECD 국가 중 과학 성적이 가장 낮은 데 반해 흥미도는 가장 높았다.
수학의 경우에도 2012년을 기준으로 OECD 국가 중 우리나라가 가장 성적이 높았지만, 흥미도는 28위로 과학과 마찬가지로 OECD 평균값에도 미치지 못했다.
OECD 비회원국을 포함한 전체 분석대상 국가(65개국) 중에서 수학 성적과 흥미도가 모두 상위권인 국가는 싱가포르(성적 2위, 흥미도 4위)로 조사됐다.
이주호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학습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성취 동기와 인내력은 평생학습자로서 자기주도 학습 역량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며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자기주도 학습 역량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OECD에서 시행한 국제성인역량평가(PIAAC)에 따르면 한국인의 수리력, 언어능력, 컴퓨터기반 문제해결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빠른 속도로 낮아졌다.
특히 35세 이상의 성인의 경우 세 가지 역량 모두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아울러 이 교수는 "우리나라의 입시 위주 교육은 학생들에게 높은 성취 동기와 인내력을 키워줘 성적만 높이는 것이 아니라 평생학습자로서의 역량도 길러 준다는 주장이 있지만, 조사 결과 인내력도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에 의하면 한국 학생들의 성취 동기는 높았지만 인내력은 OECD 국가 중 중간 수준에 그쳤다.
OECD 비회원국들과 비교했을 때 오히려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한경연은 이 같은 조사 내용을 토대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자기주도 학습 역량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제는 주입식·암기식 교육에서 탈피해 프로젝트학습과 수행평가와 같은 새로운 교수학습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yjkim8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