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패싱' 우려 컸지만…黃대행·트럼프 "긴밀공조" 확인
트럼프, 미·중 정상회담 끝난 뒤 몇시간 내에 黃권한대행과 통화
한국 정부, 美정부에 우리 입장 충실히 설명…미·중 정상회담에 반영
한·미 고위급 채널 활발히 가동…외교·안보 현안 적극 대응에는 한계
(서울=연합뉴스) 이한승 기자 =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8일 전화 통화는 한반도 문제에 대한 논의에서 한국이 배제되는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는 시점에서 이뤄졌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 다음 날인 6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는 통화하고 황 권한대행과는 통화하지 않아 '코리아 패싱'이 현실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그러나 이번에 황 권한대행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는 미·중 정상회담이 끝난 뒤 몇 시간 만에 신속하게 이뤄졌다.
황 권한대행 측은 트럼프 대통령이 플로리다 주(州)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마친 뒤 워싱턴으로 돌아가기 전에 황 권한대행과 통화가 이뤄졌다고 그 의미를 부여했다.
양 측의 통화를 보면 내용 면에서도 우리의 입장이 상당 부분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한국 측은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미·중 정상회담에서 우리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관련 사안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하며, 한·미 동맹이 트럼프 대통령 본인과 미국에 중요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미·중 정상회담에서 한국과 중국의 '뜨거운 감자'인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와 관련해서도 상당한 수준의 대화가 오갔다고 외교 당국자는 설명했다.
무엇보다 이번 통화로 '과도기적 정부' 체제에서도 양국 간 고위급 채널이 정상 가동되고 있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고 황 권한대행 측은 분석했다.
실제로 황 권한대행은 지난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이번까지 3차례 통화를 하며 한·미 현안을 논의했다.
양 측은 지난 1월 30일 첫 번째 통화를 하며 한·미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고, 북한이 탄도 미사일을 발사한 다음 날인 3월 7일 이뤄진 통화에서는 대북 압박과 연합방위 태세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2월)과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3월)의 방한 등 일련의 고위급 협의를 진행하며 대북 공조 체제를 확인했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오는 16일 2박 3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해 황 권한대행과 북핵 문제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등에 대한 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그럼에도 권한대행 체제의 태생적인 한계 때문에 일정 부분 외교 공백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 등으로 동북아 지형이 요동치고 있지만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권한대행 체제가 외교·안보 현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게 현실이다.
무엇보다 현 상황에서 북핵 문제와 관련한 정책적인 방향을 설정하기 힘들고, 황 권한대행이 한반도 주변 국가들과 정상외교에 나설 수도 없어 당분간은 현상유지를 할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jesus786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