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4.67

  • 9.33
  • 0.38%
코스닥

675.37

  • 1.78
  • 0.26%
1/4

[새 정부 과제]②전례없이 막중한 비서실장…첫 단추 잘 꿰어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새 정부 과제]②전례없이 막중한 비서실장…첫 단추 잘 꿰어야

인수위없고 총리 인준 시일 감안할 때 비서실장이 정부 밑그림 좌우

대통령 단점 보완·가감 없는 여론 전달이 비서실장 핵심 자질

"대통령 성공 여부는 비서실장에 달려…불편한 이야기도 꼭 해야"

(서울=연합뉴스) 강병철 기자 = 새 대통령은 비서실장으로 누구를 앉힐 것인가.

5월 9일 대선 승리와 동시에 임기를 시작하는 19대 대통령의 국정 운영 구상의 첫 단추는 대통령의 '1번 참모'인 비서실장 인선이 될 전망이다.

대통령직 인수를 위한 별도의 사전기간 없이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비서실장 등 청와대 참모진이 차기 정부의 구심점 역할을 담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무총리를 포함한 내각은 국회 인사청문 절차를 거쳐야 채워질 수 있고 새로 임명된 각료는 업무 파악에도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새 정부의 첫 대통령 비서실장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막중하다.






차기 정부의 첫 비서실장은 대통령 취임초 핵심 국정과제 선정 작업을 비롯해 정부 조직을 짜고 각료 인선을 비롯, 인력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이를 실무적으로 잘 뒷받침해야 한다.

비서실장의 역할은 대통령 비서실 직제에 대한 대통령령 등 법적으로 보면 대통령의 명(命)을 받아 대통령을 보좌하는 비서실 사무를 처리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통령과의 거리가 권력의 크기를 좌우하는 대통령 중심제에서 비서실장은 때로 국정 2인자로 불릴 정도로 비서실 사무 처리나 소속 공무원 지휘·감독 이상의 강력한 힘을 갖고 대통령의 국정 수행 과정에서 역할을 하게 된다.

1960년 윤보선 전 대통령 때 대통령 비서실이 처음 만들어진 이후 현재까지 많은 비서실장이 '소(小)통령', '왕의 남자', '대원군' 등으로 불리며 권력 실세로 통했고, 이 때문에 적지 않은 비판을 받은 것도 사실이다.

비서실장 스타일에 따라 '실세형', '실무형', '동지형', '비서형' 등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이런 업무스타일과는 별개로 비서실장 자격의 첫 번째 키워드는 '대통령의 보완재'라는 것이 역대 비서실장과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대통령은 자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사람을 비서실장으로 뽑아야 한다는 뜻이다.

노무현 정부에서 초대 비서실장을 지낸 문희상 전 국회부의장은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통령 성공 여부는 비서실장에 달렸다"면서 "비서실장은 대통령과 궁합이 맞아야 하는데 대통령과 생각이 똑같아야 한다는 게 아니라 대통령을 보완한다는 측면에서 궁합이 맞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명재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역시 "대통령이 정치적인 파트너보다는 자기의 장단점을 파악해서 보완할 수 있는 사람을 비서실장으로 임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대통령에게 '할 말은 하는' 것이 비서실장의 핵심 자질로 꼽힌다.

대통령은 본인이 아무리 소통에 노력한다고 하더라도 이른바 '구중궁궐'로 표현되기도 하는 청와대에 사실상 갇혀 지낼 우려가 크기 때문에 비서실장이 대통령의 눈과 귀가 돼 시중 여론을 가감 없이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다.

취임후 첫 브리핑때 "윗분의 뜻을 받들어"라는 표현을 사용한데서 상징하듯 쓴소리보다는 대통령의 하명 수행에 철두철미했던 김기춘 비서실장 유형은 대통령과 눈과 귀를 오히려 막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영삼 정부 초대 비서실장 출신인 박관용 전 국회의장은 "비서실장은 대통령이 알아야 할 사항은 아무리 불편한 이야기라도 꼭 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비서실장은 대통령의 의중을 내각과 여당, 국민에게 잘 전달하고, 국무총리와도 적절하게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자칫 삐걱댈 수 있는 당·정·청 3각 체제에서 국정의 윤활유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다만 역대 비서실장들은 비서실장이 대통령에게 무조건 '노(NO)' 할 수도 없고 '노' 해서도 안 된다고 조언했다.

대통령 역시 싫은 소리를 듣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임기 후반으로 갈수록 그런 경향이 더 생기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간언'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 전 국회부의장은 "덮어놓고 아니라고 하면 안 되고 심기 관리도 적절히 해주면서 대통령이 잘못된 방향으로 갈 때 옆에서 직언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국회의장은 "해야 할 이야기가 있으면 이해를 시키고 잘 설득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solec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