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김정남 암살사건 타결 최대 수혜자는?…나집 말레이 총리인 듯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김정남 암살사건 타결 최대 수혜자는?…나집 말레이 총리인 듯

北과 갈등 덕에 '1MDB 스캔들' 부패 이미지 희석·지지층 결집

말레이, '北인질외교 굴복'한 배경에 중국 정부 입김 작용한듯

(자카르타=연합뉴스) 황철환 특파원 = 김정남의 시신이 피살 46일만에 북한에 넘겨지면서 김정남 암살 사건이 사실상 마무리됐다.

북한은 말레이시아로부터 상당한 양보를 받아낸 것으로 평가되지만, 내실을 들여다보면 '상처 뿐인 승리'에 가깝다는 평가도 나온다.

북한 정권이 김정남을 살해했다는 증거만 없을 뿐 사건의 진상이 거의 드러난데다 화학무기인 VX 신경작용제를 범행 수단으로 사용한 탓에 국제사회로부터 추가제재까지 받을 처지여서다.

이런 가운데 이번 사건의 최대 수혜자로, 사건 이전만 해도 비리 스캔들로 정치적 위기에 놓였던 나집 라작 말레이시아 총리가 거론된다.






지난달 13일 말레이시아의 심장부라고 할 수 있는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북한의 소행으로 김정남이 살해당하는 주권침해성 범죄가 발생한데 대해 나집 총리는 사건 초반 강경하고 철저한 수사를 강조함으로써 부패 이미지를 희석했을 뿐더러 외부의 위협에 당당히 맞서는 지도자 이미지로 지지율을 높이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달 20일 강철 주말레이시아 주재 북한 대사가 말레이 당국의 수사를 깎아내리면서 말레이와 한국이 '야합'했다고 주장하자, 나집 총리는 그걸 제대로 활용했다.

강 대사가 기자회견을 통해 김정남 사건 수사가 정치적 목적에서 비롯됐다고 하자, 나집 총리는 "외교적 무례"라고 꾸짖으면서 "어떤 압박이나 협박도 받지 않겠다"고 밝힘으로써 강한 지도자 이미지를 연출했다.

나집 총리의 그런 제스처를 계기로 말레이시아 정부 당국자들도 북한에 대해 연일 집중포화를 쏟아냈고, 양국간 비자면제 협정 파기와 강 대사 추방 등의 강경조치로 이어지면서 북한과 말레이는 순식간에 단교 직전으로 치닫는 듯 했다.





그런 나집 총리는 북한이 자국 내 말레이시아인들을 억류해 '인질'로 삼자, 그들의 안전 귀환이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하며 협상 모드로 급격히 방향을 전환해 관심을 샀다. 속내는 국민보호를 가장 중시한다는 이미지를 보이려는 것이었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나집 총리는 협상 과정에서 사망자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이라는 말레이 당국의 공식적인 발표를 북한이 부정하면서 평범한 북한 시민인 '김 철'이라는 거짓 주장을 굽히지 않는데도 이를 묵인하고 김정남 시신을 북한에 인도하는 결정을 했다.

결국 나집 총리의 그런 결정은 말레이 당국의 부검과 수사 결과 마저도 부정하는 셈이 됐다.

말레이 경찰이 지난 10일 해당 사망자가 김정남이라고 공식 발표했고, 유가족 외에는 시신을 인도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웠다고 밝힌 바 있다.

치외법권 지대인 북한대사관에 은신해온 사건 용의자 현광성 북한대사관 2등 서기관과 고려항공 직원 김욱일을 석방해 북한으로 보낸 점도, 주권국가의 수장으로선 비난받아 마땅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런 정황을 종합해보면 말레이가 북한의 막무가내식 인질외교에 굴복한 셈이지만, 나집 총리는 오히려 '자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시하는 지도자'란 이미지를 구축하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국영투자기업 1MDB에서 수십억 달러의 나랏돈을 빼돌려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아온 나집 총리는, 김정남 암살 사건을 통해 안팎의 공격을 일단 잠재웠다. 그러면서 올해 조기총선을 소집해 정권을 재창출하려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동남아 외교가에선 이번 김정남 암살사건 관련 말레이-북한 협상 타결에 중국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북한과는 '동맹'이고, 말레이와는 경제적 동맹체에 가까운 중국이 막후 중재와 압박으로 협상을 마무리 짓었다는 것이다.

다음달 6∼7일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핫이슈로 부각한 가운데 중국이 김정남 암살 사건이라는 악재를 차단하려고 적극적으로 개입한 것 아니냐는 얘기가 설득력 있게 나온다.

싱가포르 유력 매체인 스트레이츠타임스는 쿠알라룸푸르에서의 북한-말레이 비공개 협상과 별개로, 베이징에서도 중국 정부의 주재로 북한과 말레이시아 양측 당국자들이 협상을 벌였다고 전한 바 있다.

중국 공안은 20명이 넘는 인력을 배당해 말레이시아 경찰의 김정남 암살 사건 수사에 관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북한과 말레이시아의 협상이 난항을 겪던 지난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유관 측이 대화와 협상을 통해 관련 문제를 적절히 해결하길 바란다"는 조언성 발언을 하기도 했다.

hwang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