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버거 주겠다'던 트럼프 시진핑 의전 어떻게…북핵-사드해법은
지난해 대선때 "中지도자 등에 고비용 국빈만찬 대신 햄버거 제공"
北 6차 핵실험 임박 분위기 속 첫 대좌…북핵 최우선 현안 중 하나
양국간 무역불균형-환율-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 갈등 현안 산적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다음 달 6∼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 주(州) 팜비치의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정상회담을 한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두 정상 간의 첫 대좌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은 북한의 6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열리는 것이어서 두 정상이 북핵 문제와 관련해 어떤 해법을 마련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울러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한국 배치, 무역 불균형과 환율 문제,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 양국 간 갈등 현안을 어떻게 조율할지도 주목된다.
◇'국빈만찬 대신 햄버거'→마라라고 호화 리조트 초대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북한과 무역 문제 등을 고리로 중국에 대해 노골적인 반감을 드러내 왔다.
대선이 한창이던 지난해 6월 조지아 주 애틀랜타 유세 때는 외국 정상들과의 회담에 대해 언급하면서 "일찍이 보지 못했던 국빈만찬을 제공할 것이다", "콘퍼런스 룸에서 햄버거를 먹어야 한다", "우리는 중국과 더 나은 협상을 해야 하며, 비용이 많이 드는 국빈만찬은 잊어야 한다"는 등의 발언을 쏟아냈다.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하더라도 값비싼 국빈만찬 대신 '햄버거 실무협상' 위주로 정상회담을 하겠다는 취지의 언급이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을 자신이 소유한 호화 별장 마라라고 리조트로 초대했다. 구체적인 메뉴가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첫날 시 주석 부부를 위한 만찬도 베푼다.
두 정상이 백악관이 아닌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정상회담을 하는 데는 여러 의미가 담겨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대통령이 외국 정상을 자신의 별장이나 고급 휴양지로 초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상대에 대한 예우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이다. 딱딱하고 형식적인 사무실 회담 대신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건설적인 대화를 나누려는 취지에서다.
보통 동맹국의 정상을 상대로 '별장 대화'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직전 버락 오바마 대통령 역시 2013년 6월에 시 주석을 캘리포니아 주의 유명 휴양지 서니랜드로 초청해 정상회담을 한 적이 있다.
워싱턴의 외교 소식통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을 백악관이 아닌 자신의 리조트로 초대한 것은 일단 우호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러나 핵심 현안과 관련해서는 분명하고 강경한 입장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핵-사드 해법 최대 관심
미국과 중국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을 큰 위협으로 간주하면서도 해법과 관련해선 첨예한 시각차를 드러내고 있다.
미국은 중국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을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중국은 미국이 북한에 대한 적대정책을 버리고 대화를 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양국이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일종의 '블레임 게임'(blame game)만 되풀이하는 형국이다.
지난 18일 베이징에서 열린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간의 첫 회담 역시 똑같은 상황이 연출됐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 노력한다"는 원칙에만 합의했을 뿐이다. 틸러슨 장관은 대북압박, 왕 부장은 대화와 협상을 각각 강조하며 평행선을 달렸다.
다만 북한이 6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정황이 속속 포착되고 있어 이번 트럼프-시진핑 첫 담판은 이전의 형식적 대화와는 조금은 다를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대북구상을 시 주석에게 관철할 수 있을지가 최대 관심사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노골적으로 북한과 중국을 싸잡아 비판해왔다.
틸러슨 장관이 중국 방문길에 나선 지난 17일에도 트위터에 "북한은 매우 나쁘게 행동하고 있다. 그들은 수년간 미국을 가지고 놀았다. 중국은 도움되는 일은 거의 안 했다"는 비판 글을 올렸다.
또 지난달 23일 로이터 통신 인터뷰에서는 "중국이 북한에 대해 엄청난 통제권을 갖고 있다. 중국이 그렇게 말하든 하지 않든 그것은 그들에게 달린 문제지만 어쨌든 중국은 북한에 대해 엄청난 통제권을 갖고 있다. 중국은 자신들이 원하면 북한 문제를 '매우 쉽게'(very easily) 해결할 수 있다"며 중국 역할론을 강조했다.
그동안 숱하게 북한의 핵미사일 불용 입장을 천명해 온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이런 입장과 함께 협상 불발 시 미국이 취할 대응책을 분명하게 전달하면서 할 것으로 알려졌다.
새로운 대북정책을 마련 중인 트럼프 정부는 현재 중국이 북핵 문제 해결에 제대로 협력하지 않을 경우 중국 기업과 기관을 직접 제재하는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도 적극적으로 검토한다는 방침을 가지고 있다.
사드 문제 역시 논의의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중국이 사드 배치와 관련해 한국에 전방위 보복조치를 취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과연 이 문제를 언급할지 주목된다.
중국 정부는 사드가 자국까지 겨냥한 수단이라고 반발하고 있지만, 미국 정부는 사드는 오로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방어수단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미 의회에서는 최근 중국의 사드보복을 규탄하는 공식 결의안까지 발의해 놓은 상태다.
◇무역불균형-환율-남중국해 영유권 갈등 접점 찾을까?
북핵 문제 이외 양국 간 현안은 크게 무역 불균형과 환율 문제, 남중국해·동중국해 센카쿠 갈등 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양국 관계의 근간인 '하나의 중국' 정책 폐기 방침을 시사하면서 이 사안이 '화약고'로 번질 뻔했으나, 지난달 10일 두 정상 간의 첫 전화통화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한 발짝 물러서면서 외견상 이 문제는 사실상 일단락된 상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그 원칙을 재확인할지 아니면 또다시 중국을 자극하는 발언을 할지는 미지수다.
양국 정상이 가장 첨예하게 부딪힐 부분은 바로 무역과 통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 중국의 불공정 무역관행을 비판하면서 집권 후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고 세계무역기구(WTO)에도 제소하겠다고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중국산 제품에 대해 45%의 관세까지 부과하겠다고까지 경고했다.
구체적으로 "미국의 무역적자가 거의 8천억 달러(약 894조 원)에 달한다", "내가 대통령이 되면 상무장관에게 외국 국가들이 우리 미국 노동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무역협정 위반 사례를 모두 조사하도록 지시할 것이다", "재무장관에게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공식 지정케 하고,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게는 중국의 불공정 무역관행을 미국 법정과 WTO에 제소하도록 할 것"이라는 등의 경고 메시지가 트럼프 대통령의 입을 통해 나왔다.
영유권 분쟁도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미국 정부는 현재 남중국해에선 '항행의 자유'를 내세우며 일본 등과 함께 중국 견제를 강화하고 있고, 중일 분쟁지인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와 관련해선 노골적으로 일본을 편들고 있다.
sim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