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AI의 새 이미지 생성 모델로 자신의 사진을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지브리 화풍으로 바꿔보는 것이 유행하는 가운데 이렇게 오픈AI로 넘어간 사진이 AI 학습에 사용될 가능성은 미처 생각을 못하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이용자들의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유행 열풍에 뒷전이라는 지적이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는 지난 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가 125만2천명으로 약 한 달 전인 지난 달 1일 DAU 79만9천명보다 56% 급증했다고 밝혔다. 이는 '챗GPT-4o 이미지 생성'이 출시된 후 사진 변환 유행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 초보다 월말에 늘어난 챗GPT 일일 이용자 약 45만명이 이미지 변환을 1차례만 했다고 쳐도 오픈AI는 최소 45만명의 인물 사진을 확보한 셈이 된다.
글로벌 규모로 보면 오픈AI가 이번 유행을 통해 얻은 이미지 데이터는 어마어마할 것으로 추산된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지난 달 31일 불과 1시간 만에 챗GPT 이용자 수가 100만명 늘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자신과 지인의 사진을 넣는 상황이지만 이것이 오픈AI의 데이터 학습에 활용될 소지가 있다.
국내 AI 업계 관계자는 "오픈AI가 초상권 침해 문제를 고려해 사진 속 얼굴 그대로를 활용하지는 않겠지만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쪼개 AI 학습 데이터로 쓸 것"이라며 "'지브리 열풍'을 계기로 오픈AI는 텍스트보다 구하기 힘든 이미지 데이터를 엄청나게 축적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오픈AI도 이미지 변환을 위해 입력된 사진 데이터가 AI 학습에 사용될 가능성이 챗GPT 버전에 따라 있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오픈AI 관계자는 "챗GPT 엔터프라이즈, 챗GPT 에듀(Edu), 챗GPT 팀 등의 서비스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모델 학습에 쓰이지 않고, 챗GPT 무료·플러스·프로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된다. 하지만, 이용자가 데이터 제어 설정에서 향후 모델 개선에 기여할지 여부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오픈AI가 이용자들의 사진을 영리적 목적이나 2차 가공 등에 무단 사용했다는 침해 신고 등이 들어오지 않는 이상 개인정보 보호 방침이 지켜질 것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