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 포인트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근 중국 출장에서 전기차 업체 두 곳을 방문하며 차량용 반도체 세일즈에 나선 것으로 보임.
- 22일에는 샤오미 전기차 공장, 24일에는 비야디 본사를 방문해 각각 레이쥔, 왕촨푸 회장과 면담함.
- 내연기관차에 필요한 반도체 개수는 약 200개였으나 전기차는 1천 개, 자율주행차는 2천 개로 차량용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
- 고성능 반도체 수요 증가로 인해 5나노 이하의 공정이 가능한 삼성 파운드리가 중국 전기차 회사에 차량용 반도체를 수주할 가능성이 높아짐.
- 23년 기준 차량용 반도체 시장 규모는 100조 원이며 29년에는 190조 원으로 연평균 12%씩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는 시스템 반도체를 연구개발하는 곳으로, '엑시노스 오토'라는 차량용 프로세서를 개발 중임.
- 해당 사업부는 23년 아우디와 폭스바겐에 제품을 납품했으며, 현대차에도 공급함.
- 한편,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은 증권가 추정치에 따르면 매출 75조 원, 영업이익 4조 7천억 원 정도로 전망되며, 2분기부터는 반등할 것으로 예상됨.●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중국 전기차 업체 잇단 방문..차량용 반도체 세일즈 나서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근 일주일간의 중국 출장에서 전기차 업체 두 곳을 방문하며 차량용 반도체 세일즈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은 22일에는 샤오미 전기차 공장을 방문해 레이쥔 샤오미 회장을 만났고, 24일에는 비야디 본사를 방문해 왕촨푸 회장과 면담했다.
내연기관차에 필요한 반도체 개수는 약 200개였으나 전기차는 1천 개, 자율주행차는 2천 개로 차량용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고성능 반도체 수요 증가로 인해 5나노 이하의 공정이 가능한 삼성 파운드리가 중국 전기차 회사에 차량용 반도체를 수주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본 기사는 한국경제TV, 네이버클라우드, 팀벨 3사가 공동 연구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을 통해 생방송을 실시간으로 텍스트화 한 후 핵심만 간추려 작성됐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는 위
생방송 원문 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