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5tg
device:MOBILE
close_button



코스피

2,505.86

  • 15.53
  • 0.62%
코스닥

684.85

  • 6.60
  • 0.95%
1/2
『와우넷 오늘장전략』 연재 목록 보기 >

금값 또 최고치 경신, 공매도 전면재개 - 와우넷 오늘장전략

관련종목

2025-04-02 16:14
  • HD현대일렉트릭 (267260)
    현재가
    294,000
    전일대비
    9000
    2.97%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금값 또 최고치 경신, 공매도 전면재개 - 와우넷 오늘장전략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금값 또 최고치 경신 공매도 전면재개  와우넷 오늘장전략


    1. 증시 중요 뉴스
    1) 뉴욕증시, 무역전쟁·인플레 우려에 급락…나스닥 2.7%↓
    -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 속에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28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급락
    -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15.80포인트(-1.69%) 내린 41,583.90에 거래를 마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12.37포인트(-1.97%) 내린 5,580.9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81.04포인트(-2.70%) 떨어진 17,322.99에 각각 마감
    - AXS인베스먼트의 그레그 바숙 최고경영자(CEO)는 "투자자들에게 있어 또 하나의 큰 경고 지점은 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이 아직 지표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은 지금이 폭풍전야라는 주장을 뒷받침한다"라며 "향후 수개월간 인플레이션은 낮아지기보단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해

    2) 5년만에 공매도 전면 재개
    - 오는 31일부터 공매도가 전면 재개. 2023년 11월 공매도가 금지된 지 17개월 만. 상장 주식 전 종목에 대해 공매도가 허용되는 것은 5년 만. 앞서 2020년 3월 정부는 코로나 팬데믹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공매도를 전면 금지했다가 2021년 5월 공매도를 재개했는데, 당시엔 코스닥200 및 코스닥 150 종목에 한해서만 공매도를 허용. 공매도는 주가가 내릴 것을 예상해 미리 주식을 빌려 팔고 나중에 주식을 사서 갚는 투자 기법. 오랜만에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전문가·투자자들은 공매도가 증시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어
    - 2009년 6월 1일, 2011년 11월 10일, 2021년 5월 3일 등 지난 3번의 공매도 재개 때를 돌이켜보면 공매도 재개 자체보다는 글로벌 유동성이나 국내외 경기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 그럼에도 공매도가 재개되면 외국인 자금이 국내 주식 시장에 들어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는 전망. 지난 3번의 사례에선 실제로 공매도 재개 직후 1개월의 성과는 갈려. 2009년엔 코스피가 0.24% 올랐지만, 2011년과 2021년에는 각각 4.77%, 2.93% 올라. 하지만 공매도 재개 후 3개월 성과는 양호. 2009년엔 코스피가 14.7% 올랐고, 2011년과 2021년엔 각각 10.0%, 2.84% 올라.
    - 대신증권 이경민 연구원은 "2009년과 2021년엔 특히 외국인의 대량 매수가 유입되며 코스피 상승을 주도했다"면서 "현재 낮은 코스피 밸류에이션과 가격 이점을 감안할 때 공매도 재개 시 수급 변화에 의한 단기 등락은 있겠지만, 외국인 순매수를 중심으로 코스피가 추가로 레벨업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


    3) 뉴욕유가, 소비심리는 꺾이고 인플레는 뜨겁고…WTI 0.8%↓
    - 뉴욕유가가 약세를 보여. 미국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끈적한 가운데 소비심리와 기대 인플레이션이 다시 악화하면서 원유에 대한 수요도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유가를 눌러
    - 2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0.56달러(0.80%) 밀린 배럴당 69.36달러에 거래를 마감

    -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5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0.40달러(0.54%) 하락한 배럴당 73.63달러에 마무리


    4) 손정의, 1조달러 들여 美에 'AI로봇 산단' 추진
    -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이 1조달러(약 1471조원)를 들여 미국 전역에 인공지능(AI) 기술이 대거 적용된 산업 단지를 짓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9일 보도
    - 손 회장은 조만간 미국을 방문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더스트리얼 파크(산업 단지) 구상'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져. 여기에 투입되는 돈은 1조달러가 넘을 것으로 예상. 소프트뱅크가 오픈AI와 미국에서 추진 중인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 투자액(5000억달러)의 2배 규모
    - 소프트뱅크가 구상하는 산업 단지는 수요 예측부터 생산 라인 설계, 생산, 검수 등의 모든 과정을 AI가 하는 것. AI가 탑재된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투입도 유력. 닛케이에 따르면, 이를 가동하는 데 필요한 AI 칩은 엔비디아에서 조달하고, 독일 휴머노이드 로봇 회사인 '애자일로봇'의 기술 활용을 고려하고 있어
    #레인보우로보틱스, 유일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로보로보, 엔젤로보틱스, 휴림로봇


    5) 美국방 "北 등 억제 역할 대부분 동맹국에…방위비 압박" 지침
    -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최근 미 국방부에 공유한 새 지침에서 중국의 '대만 침공' 저지, 미 본토 방어 등을 최우선으로 전환했다고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29일(현지시간) 보도. 동시에 동맹국에는 북한 등의 위협을 억제하는 역할을 대부분 맡기기 위해 방위비 증액을 압박할 것이라는 내용도 포함됐다고 WP는 전해
    - 헤그세스 장관은 자신의 서명과 함께 대부분의 페이지에 '기밀, 외국 국적자에 공개 금지' 표기가 된 문건에서 중국의 대만 점령 저지, 미 본토 방어를 최우선으로 전환. 또한 국방부는 인력과 자원의 제약을 고려해 '여타 지역에서의 위험을 감수'할 것이고, 유럽, 중동, 동아시아 동맹국들이 러시아와 북한, 이란 등의 위협 억제에서 대부분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기 위해 국방에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도록 압박할 것이라고 적시
    - 그러나 헤그세스 장관이 이번에 배포한 지침은 중국의 '대만 점령' 저지를 다른 잠재적 위협보다 우선시해야 할 시나리오로 전제하면서, 방대한 미군 조직체계가 인도·태평양을 향하도록 재조정했다는 점에서 놀랍다고 WP는 평가
    #LIG넥스원, 현대로템, 한화시스템, 엠엔씨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아이쓰리시스템


    2. 전일 미국 · 유럽 증시
    - 다우산업 : 41583.9 (-715.8p, -1.69%)
    - S&P500 : 5580.94 (-112.37p, -1.97%)
    - 나스닥 : 17322.99 (-481.04p, -2.7%)
    - 영국 FTSE100 : 8658.85 (-7.27p, -0.08%)
    - 프랑스 CAC40 : 7916.08 (-74.03p, -0.93%)
    - 독일 DAX : 22461.52 (-217.22p, -0.96%)
    - 유로스톡스50 : 5331.4 (-49.68p, -0.92%)

    - 주요뉴스 및 시황
    - 트럼프 러 우크라 휴전 합의 안 하면 원유 25% 관세 부과
    -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물 금 선물가격은 전날 대비 23.4달러(+0.75%) 상승한 온스당 3,114.30달러에 거래를 마감
    -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8.6bp 내린 3.912%를 기록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1.6bp 내린 4.253%를 기록
    -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전장대비 0.28% 내린 103.7을 기록


    3. Today 관심 레포트
    -HD현대일렉트릭: 1Q25 Good Start. 올해도 호실적 지속 전망 (LS증권, BUY, 목표주가 48만원)
    - 1Q25 연결영업실적은 매출 9,300 억원(yoy +16%), 영업이익 2,022 억원(yoy +57%), 영업이익률 21.7%(yoy 5.6%P↑)로서 yoy 대호조 지속 & 당사 종전 전망치(매출 9,011 억원, 영업이익 1,777 억원, 영업이익률 19.7%) 다소 초과 전망.
    - yoy 대호조 예상은 북미시장 초고압 제품 호조 등 감안한 것이며, 당사 종전 전망치 초과 예상은 4Q24 미국 고객사 사정(ESS 등 현장 준비 지연 등)에 의한 전력변압기 납품 이월분 반영액이 예상보다 컸을 것으로 추산하기 때문. 통상적으로 1, 3Q 는 2, 4Q 대비 비수기임에도 1Q25 는 예년과 달리 성수기 형태의 호실적 예상. 1Q25 는 4Q24 납품이월분 중 상당부분이 반영되는데다 4Q24 납품이월분이 대부분 수익성이 가장 좋은 미국시장 전력기기 제품이기 때문
    - 2025 년 연결영업실적은 매출 40,483 억원(yoy +22%), 영업이익 9,141 억원(yoy +37%), 영업이익률 22.6%(yoy 2.5%P↑)로서 2022 년 턴어라운드 후 매년 지속되고 있는 호실적 흐름이 올해도 그대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 첫 분기부터 Good Start 를 끊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올해도 매출은 yoy +20% 내외의 고성장을, 영업이익은 yoy +30% 이상의 가파른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은 유의성 충분 판단

    - 현대백화점 : 1Q25 Preview: 시장기대치 상회 전망 (유안타증권, BUY, 목표주가 7.5만원)
    - 2025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9,850억원(+3.5% YoY), 영업이익 1,059억원으로 영업이익 시장기대치 948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 백화점 부분은 2025년 1분기 백화점 매출 은 설 특수 등으로 1% 중반대 성장률이 예상
    - 면세점은 일평균 매출이 매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시계·보석류 등 고가품 판매 호조에 따라 매출 확대가 지속되고 있으며, 시내점의 경우 적자 상태지만 매출 효율화를 통 해 손익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지누스는 1분기 매출과 이익이 전분기 대비 둔화될 수 있으나, 전년 대비로는 큰 폭의 개선 이 예상. 작년 기저가 낮았던 영향으로 매출은 확연한 신장을 보일 전망이며, 영업이익도 전년 191억원 적자 대비 올해 1분기 120억원 흑자전환이 전망

    - 현대건설 : CID Review: 소문난 잔치에 먹을게 많았다 (키움증권, BUY, 목표주가 5.2만원)
    - 현대건설의 이번 CID에서 명확한 수주 전략을 제시하였고, 이는 향후 회사에 대한 가시성을 높혀준다는 점에서 주가에 있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 회사는 Energy Transition Leader로의 전환을 위해 신재생/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수주를 늘릴 계획임을 밝혀. 단순 발전 플랜트 시공만이 아닌 저장·운송(송변전, 청정 암모니아 등), 활용(데이터센터 등)의 에너지 산업 전반의 Value Chain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
    - 특히, 원전에서의 향후 성과가 기대. 대형원전에선 웨스팅하우스와의 코즐로두이 원전을 시작으로 스웨덴, 루마니아 등 유럽쪽으로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고, 중국, 러시아를 제외한 글로벌 원전 EPC회사들에서 On Time Within Budget이 가능하다는 점이 긍정적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