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5tg
device:MOBILE
close_button



코스피

2,505.86

  • 15.53
  • 0.62%
코스닥

684.85

  • 6.60
  • 0.95%
1/3

의대 집단휴학 종지부 찍을까...오늘 복귀 '디데이'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의대 집단휴학 종지부 찍을까...오늘 복귀 '디데이'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의대 집단휴학 종지부 찍을까오늘 복귀 디데이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이 다가오면서 1년 이상 이어진 집단 휴학 사태도 끝을 맺을 가능성이 커졌다.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카톨릭대·울산대 등 이른바 '빅5' 의대를 포함해 고려대와 국가거점국립대인 충남대·부산대 의대 휴학생들이 전원 돌아와서다.


    31일 가천대·건국대·계명대·단국대·대구가톨릭대·아주대·원광대·한양대가 등록·복학 신청을 마감한다.

    4월 초·중순까지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38개 의대가 이날로 의대생 등록·복학 신청을 종료한다.


    정부가 지난 7일 '3월 내 전원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천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지만 의대생들은 '미복귀 휴학' 기조를 유지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지난 20일 학생대표 공동 성명서에서 "적법하게 제출한 휴학원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이런 입장을 재확인했다. 당시 성명엔 40개 의대· 의학전문대학원 대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올해는 학칙대로 엄정 처분한다는 강경한 대응 방침이 알려지자 의대생들 사이에서 변화 기류가 생겼다.

    가장 먼저 마감 시한이 온 연세대 의대생들이 '일단 등록'으로 결정했고 서울대 의대 학생회도 복귀로 선회해 학생들이 속속 복학했다.


    여기에 성균관대·울산대·가톨릭대도 합세하며 빅5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했다. 고려대와 거점국립대인 충남대, 부산대 의대생들도 모두 돌아왔다.

    다른 의대들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대부분 의대생들이 복귀하자 미복귀를 고수하는 일부 의대 학생들도 결국 돌아올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의대협은 전날 배포한 대회원 서신에서 "회원들이 꿈꾸는 의료의 모습을 규합하지 못한 것에 엄중한 책임을 느낀다. 또한 교육부와 그에 굴종한 학교로부터 끝까지 적법한 휴학원을 지켜내지 못한 것에 크나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현 상황을 인정했다.

    하지만 "우리마저 침묵하면, 오늘의 협박은 내일의 기준이 되며 불의는 정당화될 것"이라며 "온갖 협박과 유린, 계엄에도 결국 학생들은 한곳으로 또 모인다. 학생들이 모이는 한, 의대협 역시 포기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전국 의대의 복귀율을 취합해 '전원'으로 볼 수 있을지 판단을 내리고 조만간 입장을 발표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전원의 의미가 100%가 아니라 '정상적인 수업을 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1년여 만에 학생들이 돌아온 만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3천58명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학생들이 복귀 후 재휴학하거나 수업거부를 한다면 정상적인 수업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고 의대 모집인원은 기존 정원인 5천58명이 될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